목차
책머리에

제1부 근대시와 모더니티

1장 김기림 시론의 근대적 대중 인식과 지식인상의 정립 과정
1. 지식인-노동 대중의 관계 설정과 통속 대중의 발견
2. 교양 대중을 위한 모더니즘 시론과 속중 추수적 지식인 비판의 체계화
3. 휴머니즘적 지식인상의 부각과 해방 후 인민 대중을 향한 문화적 실천
4. 지식인-대중 담론의 연속성과 의미

2장 여로의 감각과 생활의 의미: 김광균론
1. 함경도 여행의 회화적 조형과 생활의 소거
2. 대도시 경성 체험과 비애의 발화
3. 정치적 죽음의 애도와 일상의 발견
4. 私的 언어에서 史的 언어로: 현실의 자각과 그 의미

3장 김광균 시의 인물 형상화와 죽음의식
1. 익명화된 타자와 개별화된 친족 죽음: 『瓦斯燈』, 『寄港地』
2. 해방기의 애도시편과 노신ㆍ소월을 통한 생활의 도모
3. 지인 및 모친의 죽음과 생의 문제: 『秋風鬼雨』, 『壬辰花』
4. 친족과 타자 형상의 상관성

4장 오장환 시의 댄디즘과 근대 비판의 성격
1. 보들레르의 「현대생활의 화가」와 댄디즘의 명제
2. 근대 문명과의 거리 두기와 전통의 재인식: 『城壁』
3. 구질서적 정신의 추구와 그 실패: 『獻詞』
4. 댄디즘의 방향성과 역사적 모더니티 비판

5장 위생의 근대와 생명파: 오장환과 서정주의 시
1. 식민지 근대의 위생 권력과 그 성격
2. 부랑의 탈위생성과 불구적 신체의 생명력: 서정주
3. 불결의 수사학과 노동 조건 비판: 오장환
4. 제국의 감시와 처벌을 넘어서

6장 해방기 좌와 우의 근대시사 인식과 담론화 양상
1. 1920년대의 낭만주의와 현실주의 시 인식: 한효와 서정주
2. 소월 시의 가치 부여와 그 기준: 오장환과 서정주
3. 1930년대 정지용 시의 상반된 평가와 그 의도: 문맹과 청문협
4. 선택과 배제, 정전과 위계의 기원

7장 신시론과 후반기 동인의 모더니즘 시 이념 형성 과정과 그 성격
1. 『新詩論』 내 참여적 모더니즘과 김기림론: 김병욱 계
2. 전망의 불확실성과 내적 동요: 박인환
3. 김경린의 기교적 모더니즘과 ‘後半期’ 결성기의 조향
4. 실천과 기교, 모더니즘의 가능성과 그 축소

8장 김종삼 시와 근대 회화: 추상미술의 영향을 중심으로
1. 추상미술의 조형론과 앵포르멜
2. 대상의 생략과 요약을 통한 비구상의 작법
3. 색면 추상과 기하학적 추상의 시세계
4. 넓은 의미의 추상미술과 시적 수용

제2부 근대시와 숭고

1장 숭고 미학의 이론과 양상
1. 초월적 신성의 열망: 롱기누스
2. 상상력의 불쾌와 사유 능력의 쾌: 칸트
3. 예술을 통한 고양과 삶의 포월: 니체
4. 현시 불가능한 것의 현시와 아방가르드: 리오타르

2장 백석 시의 숭고와 미
1. 숭고의 개념: 롱기누스와 칸트
2. ‘아득한 ?날’로의 회귀와 기원 상실: 「北方에서」
3. 비극적 감정의 증폭과 운명에 대한 사유: 「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
4. 미와 숭고의 이중주: 『사슴』과 후기시의 관계

3장 김종삼 시의 숭고와 죽음의식
1. 초월적 세계로의 비상과 천상의 형상 지우기
2. 거대하고 압도적인 것의 제시와 불쾌의 감정
3. 위력적인 죽음의 대면과 황야적 삶의 수용
4. 심미주의적 독법의 한계를 넘어서

참고문헌
발표지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