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문: 고려 전기 인주 이씨 가문의 문한고
- ‘혈연’과 문학적 특질
- 이자연계의 문한적 국면
- 이자연(李子淵, 1003∼1061)
- 이정(李?, 1025∼1077)
- 이의(李?, ?∼?)
- 이자량(李資諒, ?∼1123)
- 이자현(李資玄, 1061∼1125)
- 이자상계의 문한적 국면
- 가문의 형성과 현세주의적 창작 경향
2. 국가: <동명왕편>의 서사시적 특질과 국가의식
- 하나의 의문, 시(詩)와 자주(自註)의 형식적 결합
- 서사시적 특질과 주(註)의 기능
- 역사적 제재를 통한 집권 통치층에 대한 비판의식 표출
- 사실(史實)의 진실성 강화와 숭고화
3. 민족: 고려 중기 민족 현실과 지식인 이규보의 모색
- 고려 중기 현실과 지식인 이규보
- <동명왕편>: 중국과 비견되는 고려의 문화전통
- 농민시: 현실 비판과 체제 안정의 사이에서
- 이규보를 다시 읽기 위한 화두, 자유에 대한 욕망
4. 인문: 최자의 인문정신과 비평의식
- ≪보한집≫에 대한 정신사적 해명
- 인문화성(人文化成): 인정·인륜에 대한 긍정적 시선
- 정즉의야(情卽意也): 정감의식에 대한 자각적 이해
- ‘동인시학(東人詩學)’의 계통적 연구 필요
5. 고전: ≪보한집≫의 고전화 전략과 그 문화사적 의미
- ‘보(補)’와 ‘한(閑)’의 의미
- 시학비평의 기준 ‘두보’
- 고려시학의 이상형 ‘이규보’
- 시학을 경유한 이질자 포용과 그 문화사적 의미
6. 경계: ≪삼국유사≫, 그 경계의 사유들
- 다양한 중층적 텍스트, ≪삼국유사≫
-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단절과 포용
- 세파의 질긴 인연
- 함께와 넘어
- 일상적 삶의 상징
- 도화녀와 비형랑: 삶과 죽음
- 아름다움을 탐하는 고대인
- 정절과 선택
- 복사꽃, 복숭아나무, 도화녀
- 복숭아[桃] 신앙
- 자유를 갈망하는 욕망의 형상
- 박염촉의 죽음: 순교와 국가
- 국가주의의 폭력
- 순교의 정치학
- 죽음, 그 우울한 징조들
- 흰 피의 전략
- 김현과 호녀: 사랑과 욕망
- 사랑과 진실
- 고귀한 희생정신의 소유자 ‘호녀’
- 자살, 사랑의 대가인가
- 선택, 그리고 자유
- 그리고 현재는?
- 끝없는 접면의 생성과 창조를 위해
7. 여성: 고려 후기 지식인의 아내 이야기
- 가족(아내)을 마주한 변명
- 논의의 전제: 딸/아들, 젠더화
- 무신집권기: 말 없는 가난한 아내
- 원간섭기: 헌신하는 어머니, 그리고 재배치
- 아내에 새겨진 세족의 욕망
8. 가난: 고려 후기 가난에 대한 몇 가지 시선
- 가난의 세 가지 의미
- 돈에 대한 두 가지 생각, 의천과 임춘
- 한시 속 가난에 대한 시선들
- 경제적 결핍
- 상대적 불평등
- 삶을 관조하는 프리즘
- 지식인의 안락
- 이념적 형상 전통이 된 ‘가난’
1. 고려 후기 작가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고려 한문학의 가능성
- 작가 연구의 연대기적 성찰
- 문제 도출과 해결 방안 모색
- 다시 새롭게 시작하면서
2. 원간섭기 고려 한시사 이해를 위한 전제
- 방법적 ‘원간섭기’
- 실리적 대원 태도와 문명의식
- 새로운 지식인상 모색
- 곤궁을 지키는 내성적 지식인
- 정치적 전범이 되는 군자형 지식인
- 중행(中行)하는 청렴한 지식인
- 세상을 고민하는 영웅적 지식인
- 한시 주제의 몇 가지 국면
- 제 몫과 오도를 추구하는 삶
- 동지적 연대를 통한 예제(禮制)의 실현
- 애상과 달관의 정조로 채색된 시물(時物)
- 새로운 담론의 필요성
3. 이장용의 오도의식과 애상적 시 세계
- 13세기 후반 정치공간과 이장용
- 대원자세의 현실적 성격
- 오도의식과 문교기획
- 애상의 정감: 선경과 현실의 갈등
- 현실과 명분의 경계에 선 지식인
4. 이승휴의 ≪빈왕록≫과 자성적 현실 인식
- 원과의 강화에 대한 재평가
- ≪빈왕록≫의 동국의식과 대원관
- ≪제왕운기≫의 교열과 비평
- 자성적 우민의식
- 실(實)의 취향과 현실적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