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개요
1) 연구일반현황
2) 연구내용개관
3) 연구진
4. 기대효과
II. 각국의 표준발음정책
1. 각국의 표준발음정책조사개요
1) 표준발음정책의 어제와 오늘
2) 외국의 표준발음관련 정책, 제도, 법조사
3) 외국의 표준발음 관련정책의 효과, 변화방향 등 조사
4) 북한의 표준발음법과의 비교
2. 우리의 표준발음, 어제와 오늘
1) 문교부 표준말 안(1979.12.)
2) 국어연구소 표준발음법(1987.4.)
3) 국어연구소 표준발음법(1987.9.)
3. 외국의 표준발음정책
1) 표준발음 관련규정의 존재양상
2) 표준발음을 정한 절차와 기준
3) 표준발음관련교육현황
(1)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발음관련 교육홍보방법
(2) 표준발음에 대한 학교 교육 과정과 교육방법
(3) 일반인들의 표준발음 관련의 문제해결 방법
4) 표준발음관련정책의 장단점
4. 북한의 표준발음 정책
1) 조선어철자법(1954)의 표준발음법
2) 조선어문법(1960)의 표준발음법
3) ‘조선말 규법집’(1966)의 ‘표준발음법’
4) ‘조선말 규범집’(1987)의 문화어 발음법
5) ‘조선말 규범집’(2010)의 문화어 발음법
5. 요약
III. 표준발음에 대한 일반인의식조사
1. 일반인설문조사개요
1) 조사 의 개요
2) 조사과정
3) 조사내용
4) 설문지
5) 조사대상
2. 일반인설문결과 분석
1) 표준발음 및 표준발음법인지도
2) 표준발음 및 표준발음법이해도
3) 표준발음 표준발음법 수용도
4) 표준발음법의 세부규정 수용도
5) 표준발음법 개정의 필요성 방식
6) 개별 표준발음
(1) 경음화
(2) 자음군
(3) ㄴ첨가
(4) ㄴㄹ연쇄의 발음
(5) ㅢ
(6) 받침의 발음
(7) 기타
3. 요약
IV. 표준발음에 대한 전문가의식조사
1. 전문가 심층면담 개요
1) 면담대상선정
2) 면담 내용 방법
2. 표준발음법에 대한 전문가 식
1) 표준발음법과 표준발음사전
(1) 표준발음법의 존재에 대하여
(2) 표준발음사전의 필요성
(3) 표준발음법과 표준발음사전의 관계
2) 표준발음법규정의 개정
(1) 표준발음법의 개정필요성
(2) 문제가 되는 표현이나 항목
(3) 전통성과 합리성
3) 논란이 많은 발음
(1) 장단
(2) 단모음 ‘외, 위’
(3) 경음화
(4) 겹받침
(5) 유음화와 치조비음화
(6) ‘ㄴ’ 첨가
(7) 재구조화된 단어의 발음
(8) ‘ㅐ/ㅔ’의 혼동
(9) 기타 현실발음
4) 표준발음 결정 절차
5)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6) 복수표준발음
7) 외래어의 발음
3. 전문가 면담 녹취록 요약
4. 요약
V. 일반인 발음 실태 조사
1. 일반인 발음 실태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방법
3) 조사 내용
2. 일반인 발음 실태조사결과 분석
1) 단모음 의 발음
(1) ‘ㅔ’와 ‘ㅐ’의 구별
(2) ‘ㅚ’의 발음
(3) ‘ㅟ’의 발음
2) 이중모음의 발음
(1) ‘ㅖ’의 발음
(2) ‘ㅢ’의 발음
3) 음의 길이
(1) 어두 장음의 발음
(2) 어두 단음의 발음
4) 홑받침의 발음
(1) ‘ㄷㅆ’ 연쇄의 발음
5) 겹받침의 발음
(1) 자음군 단순화
6) 어간 말 ‘ㅎ’의 발음
(1) 어간 말 ㅎ의 발음
(2) 초성 ‘ㅎ’의 축약
7) 연음
(1) 체언 어간 말 자음의 변화
(2) 체언 어간 말 자음군의 변화
8) 절음
(1) 합성어 경계에서의 절음현상
9) 구개음화
10) 유음화
11) 조음 위치 동화
12) 활음 첨가
13) 경음화
(1) 용언에서의 경음화
(2) 한자어에서의 경음화
(3) 관형사어 뒤에서의 경음화
(4) 합성어에서의 경음화
14) 음의 첨가
15) 사이시옷의 발음
16) 모음 연쇄의 발음
17) 외래어의 경음화
3. 요약
VI. 표준발음법의 내적.외적 문제점
1. 표준발음법의 법적 지위
1) 고시의 법규로서의 효력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관련 헌법재판소 결정
3) 표준발음법’의 법적 구속력
2. 표준발음법 규정 내의 문제
1) 표준발음법의 용어 문제
2) 표준발음 법규정 내의 충돌
VII. 요약 및 제언
1. 표준발음 및 표준발음법에 대한 인지도 및 수용도
1) 인지도
2) 수용도
2. 표준발음법 및 표준발음
1) 각국의 표준발음법 표준발음 정책
2) 표준발음법의 필요성
3) 표준발음사전의 필요성
3. 표준발음법 규정의 개정
1) 표준발음법의 법적 지원
2) 표준발음법 규정 개정의 필요성
3) 표준발음법 규정 개정 방향
4) 논란이 많은 표준발음
(1) 장단
(2) 단모음 ‘ㅚ, ㅟ’
(3) 경음화
(4) 겹받침발음
(5) 유음화와 치조비음화
(6) ‘ㄴ’ 첨가
(7) 재구조화 된 단어의 발음
(8) ㅐ/ㅔ의 혼동
(9) 기타 발음
4. 표준 발음 및 현실 발음의 관계
1) 현실발음의 반영
2) 복수 표준발음의 필요성
3) 외국의 현실발음 반영 사례
5. 외래어의 발음
1) 외래어 발음의 문제점
2) 외래어 발음의 실태
3) 외래어 발음 문제의 해결 방안
(1)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발음하는 방안
(2) 외래어 발음법을 제정하는 방안
(3) 단어에 따라 발음 정보를 달리 제시하는 방안
6. 표준 발음법 개정 및 표준 발음 결정 절차
1) 표준 발음법 개정
2) 표준 발음 결정
7. 향후 조사를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