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김소월·백석의 시와 민속성
1. 문제제기
2. 연구사 검토
3. 연구방법과 범위

제2장 전통지향성과 민속성
1. 근대성과 민속성의 관계
2. 민속의 원형성과 전통성
3. 주술성과 문학의 재현
1) 고전문학과 주술성
2) 주술성과 현대시

제3장 소월 시의 민속 수용과 변용 양상
1. 민요시와 전통지향성
1) 자연과 리듬의 변주
2) 민요시의 전통지향성
3) 시대를 초월한 혼의 노래
2. 전원상징과 생생력의 근원
1) 생성력과 물의 순환성
2) 산(고개, 바위, 돌)의 생생력과 제의적 공간
3) 나무(꽃, 풀)와 짐승, 자연의 통과의례
3. 주술성과 기원의 형식
1) 사령의 주체와 역설의 언어
2) 무덤과 재생의 형식
3) 아니마적 요소와 공동체의식의 원형
4) 민중적 사랑과 땅의 회귀의식

제4장 백석 시의 민속 수용과 변용 양상
1. 감각과 전통지향성
1) 감각의 다양성과 활용과정
2) 음식의 체험과 순환적 의미
3) 사물의 고유성과 전통적 역할
2. 민속의 원형성과 가족공동체의식
1) 고향의 모습과 비극적 인물의 모티브
2) 혈연공동체의 제의와 풍속의 재현
3) 귀신들과 민중적 생명력의 공존
4) 현실적 의미와 원형의식
3. 방언의 서술 양상과 문제점
1) 지역어와 토착어의 변주 양상
2) 엮음의 문체와 언어의 주술성

제5장 소월·백석 시의 민속성 인식과 개성적 편차
1. 김소월: ‘님’의 다의적 상징과 주관적 시공간 인식
2. 백석: 토속지향의 상징과 객관적 시공간 인식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