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1.김소월 시에 나타난 져통의 세 요소
2.한용운 시의 역설적 세계관
3.정지용 시의 문명 의식
4.백석 시의 세계 대응 양상
5.서정주 시에 나타난 여성성과 욕망의 관련 양상
6.조지훈 초기 자연서정시에 나타난 세계와 자아의 대응 양상
7.박목월시의 가족 이미지와 내면 의식
8.김춘수 처용연작의 시의식
9.박재삼 시의 죽음의식과 미적 구조
10.정진규 시의 변모 양상
11.오탁번 시의 동심적 상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