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 격동기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의 사회적 배경과 의미
1. 지역 연구와 신문소설 연구
2. 대구지역 신문의 형상과 발전과정
제2장 격동기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의 실태와 특성
1.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의 발굴 실태
2.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의 내용 개요
3.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의 장르별 특성
1) 전시기, 전후기의 애정담 - 혼사 갈등과 대안 모색
2) 사회 계몽, 사회비판적인 소설들
3) 역사 회고와 무협, 괴기, 민담으로의 현실 도피와 성찰
4) 기타 - 실전소설, 체험수기, 종군수기, 수기번역
제3장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담론의 사회적 양상과 이념
1. 중앙문단 작가들의 1950년대 사회 모럴과 세태 반영 - 연재소설의 사회성을 중심으로
1) 정비석, 최태응
2) 최인욱, 최독견
3) 김송, 박영준
4) 박연희, 이선구
5) 이봉구, 오상원
6) 결론 - 원조경제시대의 사회 모럴과 계몽
2. 1950년대 지역 군소작가들의 사회담론 양상
1) 이정수「여배우」-50년대 대중문화의 화두, 영화 창작에의 열정
2) 홍영의「애정백서」,「열토의 풍속」, 전시 애정담과 치유로서의 사회 계몽담
3) 김동사, 후방도시에서의 전시 체감과 전통 가족윤리로의 복귀
4) 최영하, 지역 토종작가로서의 대항담론
5) 지역작가들의 신문소설 내용과 특성
3. 격동기 대구ㆍ경북 신문소설의 여성담론의 전개 양상
1) 신문연재와 지역 여성담론의 함수관계
2) 격동기 지역 신문과 여성담론
3) 여성담론 1 - 남성작가의 애정소설
4) 지역작가의 여성담론
5) 지역 여성작가의 여성담론의 가능성
4. 1950년대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연재물의 반공이데올로기 - 전시 연재물을 중심으로
1) 연재소설의 반공이데올로기 수용과 이념화
2) 전시 연재수기, 수필의 반공 이데올로기담론
제4장 결론 : 격동기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담론의 사회적 의미
부록 : 격동기(1945∼1962) 대구ㆍ경북지역 신문소설 개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