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자 이종부 이야기에 나타난 삶과 세계관
1. 머리말
2. 이야기꾼 이종부의 삶과 이야기꾼으로서의 성격
3. 이종부의 이야기 목록과 그 특징
4. 이종부 이야기의 세계관
5. 맺는말
1. 화전밭 매다 명궁名弓이 된 사람
2. 산을 깎아 낸 필력
3. 왕휘지의 필력
4. 중국 사신 몰아낸 떡보사공
5. 중국에 사신으로 간 남편과 칼을 낳은 아내
6. 임금도 도와주지 못한 운 나쁜 선비
7. 호랑이껍질을 세 번 벗겨 먹다
8. 시골 지직장수의 꾀
9. 식충이 장사 방연의 불행
10. 사위 쫓고 떡 해 먹으려다 망신당한 장인 이야기
11. 호랑이에 물려간 아버지 덕에 부자가 된 사람
12. 시아버지 버릇 고친 며느리
13. 산을 가른 역발산
14. 고양이의 화를 면한 사람
15. 머슴에게 뺏긴 재산, 도로 찾아준 황노랭이
16. 용의 승천을 도와준 사람
17. 밥 기운을 빨아먹는 지네
18. 금산이 이야기(머슴을 공짜로 부려먹으려 한 함경도 사람)
19. 무덤에서 살아난 사람
20. 귀신의 한을 풀어준 원님 이야기
21. 퇴계 선생 호號의 유래
22. 그물의 벼리를 달게 된 사연
23. 훈장님 장가보낸 학동들의 지혜
24. 국청사의 샘물
25. 귀율리 도사 임삿갓
26. 상사병 고친 총각
27. 책 잘 읽어 장가 간 사람
28. 도깨비불
29. 구들장을 나른 도깨비
30. 목화 따는 아가씨와 뽀뽀하기
31. 처녀에게 종아리 맞고 급제한 사람
32. 힘 자랑
33. 여각 주인여자 손목 잡은 사연
34. 자하골 내시 종자Ⅰ
35. 식당 기둥 때를 약으로 팔아먹은 사람
36. 지관은 두 말, 중매는 한 말
37. 금시발복 명당 빼앗은 딸
38. 새우젓 장수에게 봉변당한 화전민Ⅰ
39. 장님의 용한 점괘Ⅰ
40. 금정골에 얽힌 사연
41. 서산대사와 사명당의 신통력
42. 긴 얘기
43. 술책으로 장가 간 총각
44. 쫓아낸 아들이 돈 벌어온 사연
45. 오시하관午時下官 사시발복巳時發福
46. 기러기 갈대순 물고 미시령 넘는 사연
47. 산돼지 목에 새경 걸어 둔 머슴(독한 눈싸리뿌리로 만든 술)
48. 매봉재의 유래Ⅰ
49. 빈대절터
50. 입춘문立春文 따라해 부자 된 사람: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51. 소대상이란 이름의 유래
52. 새소리 알아들은 사람
53. 한시로 신랑감을 구한 여자
54. 김삿갓의 풍월
55. 제갈량의 지혜
56. 못생긴 제갈량 부인의 지혜
57. 명을 늘이지 못한 제갈량
58. 사탕으로 꾀어 콩밭매기
59. 처녀가 낳은 아들, 애비 찾아주기
60. 자하골 내시 종자Ⅱ
61. 시로 귀신 타박 준 이야기
62. 절에서 공부하다 부부가 된 처녀 총각
63. 책 씻기
64. 새우젓 장사에게 봉변당한 화전민Ⅱ
65. 아들 제사 받아먹지 못하는 사람Ⅰ
66. 김삿갓에게 욕 본 사람
67. 백자천손 곽자희
68. 나라 구한 아기장사
69. 셋을 모르는 부엉이
70. 매봉재의 유래Ⅱ
71. 승학교의 유래
72. 충신 예양
73. 수중방골과 어사 박문수
74. 늑대 먹이 훔쳐 먹고 혼난 사람
75. 신랑 일곱 죽일 팔자를 지닌 여자와 혼인한 사람
76. 물동이 깨고 혼인한 사람
77. 개와 같이 산 여인狗不十年
78. 시골 농부들의 지혜
79. 자라 살려주고 얻은 화수분
80. 왕소군 이야기
81. 여우 자손 강감찬
82. 둔갑여우 퇴치한 강감찬
83. 맹꽁이 몰아낸 강감찬
84. 사돈의 청첩장
85. 열한 장 사주 해결한 딸의 지혜
86. 삼정승 육판서 난 명당
87. 호랑이의 중매
88. 무식한 서울신랑, 창피 모면한 이야기
89. 빈대 벼룩 피해 여자 배 위에서 잔 베 장사
90. 물레질 하다 호랑이 잡은 여자
91. 산삼 캐 부자 된 머슴
92. 간장독에 빠진 구렁이가 은혜 갚은 이야기
93. 백석 고개
94. 개똥으로 시부모 밥해준 효부孝婦
95. 개구리가 된 은덩이
96. 말바위
97. 남편 시신에 든 여우
98. 도둑과 옷 바꿔 입고 부자 된 사람
99. 혈 끊어 망한 조판서 댁
100. 호랑이 눈썹(호랑이에게 죽을 여자를 구해주다)
101. 호랑이한테 물려간 손자 구한 할아버지
102. 뱃속 혼인(두 번 죽은 박정승 딸)
103. 병이 고황에 들어 고치지 못한 편작
104. 편작을 속이려다 도리어 죽은 사람
105. 아들 해부한 편작
106. 팔자 고친 포천 장작장사
107. 오성자손 오서방
108. 칠십에 낳은 아들 위해 남긴 유언(칠십에 생남자)
109. 옥정리 독바위
110. 장구혈
111. 호랑이 밟아 노름돈 훔친 개평꾼
112. 흉가에서 금덩이 발견해서 부자 된 개평꾼
113. 도둑들, 잘 살게 해 준 열 살 난 아이의 지혜
114. 만장시 이야기
115. 경 읽어 부인한테 붙은 귀신 몰아내고 망한 옥정리 윤씨
116. 포천의 신침神針 신갑산
117. 내 복에 산 막내딸
118. 호랑이와 도둑놈 잡은 붓 장사
119. 우리 고유의 과일인 배 금석미, 과동미
120. 사돈집에서 죽 훔쳐 먹다 망신당한 친정아버지
121. 명산리 유래
122. 혼이 바뀐 사람
123. 내 머리 돌려다오責索頭
124. 제갈량 모시러 간 조자룡
125. 주인 아들 구한 도둑머슴
126. 장님의 용한 점괘Ⅱ
127. 처를 머슴에게 뺏긴 사연
128. 배를 진정시킨 가미이중탕加味二重湯
129. 오성과 한음 1(발가벗은 한음)
130. 오성과 한음 2(병막에서 한음에게 뺨 맞은 오성)
131. 오성과 한음 3(한음의 불알을 쥔 두억귀신)
132. 오성과 한음 4(똥 넣은 송편 먹은 오성)
133. 오성과 한음 5(오성 어머니를 속인 한음)
134. 웅쿰대중으로 범인 잡기
135. 산 괴수에게 끌려온 아녀자 구한 나그네
136. 맹상군 친기親紀
137. 시장불량배 버릇 고친 황노랭이
138. 석유장사의 횡재
139. 영험한 서낭목
140. 하룻밤에 제사 두 번 지내는 까닭
141. 신혼부부 요 뺏어오기
142. 땅을 사야 하는 도깨비 돈(도깨비 천량)
143. 구월산 타령
144. 복숭아 서리하다 웃은 사연
145. 무덤 잘 써 천자 된 주원장
146. 반다지 속의 간부姦夫
147. 강제로 지관 모셔 얻은 명당으로 장수 된 사람(도끼정승)
148. 상사병 고친 사연Ⅱ
149. 토정 선생과 제자의 문답
150. 임금을 감동시킨 청지기의 지혜
151. 노루로 보여 총 맞은 사람
152. 맥추麥秋도 역추亦秋
153. 방구탕탕 석양풍夕陽風(엉터리 시 짓기)
154. 물에 빠진 처녀 구해 장가 간 목동
155. 용의 승천을 도운 처녀(연안 용상폭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