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제1부 문협파의 비평담론과 해방기 한국 문학사

문협파 연구를 위한 시론 - 질문과 쟁점, 접근 방법의 문제
1. 해방 이후 한국 문학사와 문협파의 위상
2. 문협파의 성립 근거와 새로운 질문 방법의 모색
3. 청문협 핵심 분자들의 이념공유 과정
4. 결론에 대신하여

조연현 비평 연구 - 편론집 『문학과 사상』
1. 서론
2. 평론집 『문학과 사상』이 놓인 자리
3. 조연현 비평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4. 결론

김동리 비평 연구 - 평론집 『문학과 인간』
1. 비평가로서의 김동리
2. 김동리 비평의 기원
3. 김동리 비평담론의 조직화 과정
4. 한국문학과 비평가 김동리

제 2부 전후 평단의 동향과 쟁점

전후 한국문단의 재건과 권위의 창출 방식
- <현대문학>의 기원과 담론실천 양상에 대하여
1. 지령 600호, 창간 50주년-'사건'으로서의 <현대문학>
2. 비평가 조연현과 <현대문학>의 기원
3. 새로운 문학담론의 기본 구도와 전략
4. 상징투쟁, '권위'의 재생산 방식

4. 19세대 비평 담론의 형성과정
1. 서론
2. 4.19세대 비평가 집단의 성립배경
3. 비평담론 형성의 내부적 과정과 주요 인식소
4. 결론

변혁을 위한 창조의 꿈 - 임헌영론
1. 거친 시대의 파도를 넘어
2. 미지에 대한 도전과 인식으로서의 문학
3. 형이상학에서 '한국'이라는 현실의 발견으로
4. <상황>의 대두와 민족적 리얼리즘에의 도정
5. 분단시대의 한국문학, 그 성찰과 전망
6. 끝날 수 없는 아득한 여로

제3부 한국문학과 식민지 근대

이광수 문학과 식민지 근대 체험 - 초기 단편을 중심으로
1. 서론: 이광수, 억압된 기억의 복원을 위하여
2. '내면'의 발견과 '회의'하는 소년
: 처녀작 「사랑인가」가 놓인 자리
3. 식민지 조선의 현실과 지식인 작가의 길
4. 결론: 장편 『무정』의 탄생과 그 기원에 대하여

식민지 제국과 예술가의 자존 방식 - 1930년대 후반기의 이태준 문학
1. 서론
2. 별장에서의 글쓰기: 어떤 예술가 의식의 기원
3. 식민지 근대의 포획력과 산책자의 시선
4. 환멸의 생성과 소멸
5. 결론

식민지 근대성과 광인 서사의 의미 - 광인형 등장인물의 세 가지 유형
1. 식민 체재와 근대 문학, 그리고 광인
2. 식민체재로부터의 망명객
: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3. 늑대인간으로서의 예술가: 김동인의 「광염 소나타」
4. 불가능을 꿈꾸는 살인자: 최서해의 「기아와 살육」
5. 식민지 규율권력과 비이성의 언어

참고문헌
찾아보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