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총론 - 시는 온몸에 의한, 온몸의 이행이다

제1부 사유, 이행, 현재
김수영의 현대성 또는 현재성 황현산
김수영과 시적 이행의 문제 김상환
오염된 시인과 시 ─ 김수영 시의 아이러니와 현대성 함돈균

제2부 탈식민적 자장(磁場)
김수영의 탈식민주의적 언어의식과 현대성의 경험 곽명숙
김수영 지우기 ─ 탈식민주의 논의와 관련하여 허윤회
언어의 이민 : 김수영 시의 탈식민주의적 양가성 배개화

제3부 ‘시선’이라는 시학
김수영과 시각(視覺)의 문제 조강석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선의 정치학 이광호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선의 기술’의 전개 양상 김수이
─ 근대적 ‘피로/우울’, ‘휴식’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제4부 젠더와 성
김수영, ‘반여성주의’에서 ‘반반의 미학’으로 조영복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여편네’ 인식 고찰 맹문재
김수영 시에서의 ‘여성’, 그 기호적 의미망 읽기 임명숙

제5부 세 개의 에필로그
제 모습 되살려야 할 김수영의 문학세계 김명인
─ 김수영 미발표 유고 해제
생애론의 관점에서 새로 읽어야 할 김수영 박덕규
우리는 오늘, 김수영을 읽는다 이은정

김수영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