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기억 재형상화 원리 중심의 소설 읽기

제1장 기억 재형상화 논의의 필요성
1. 문학의 소통과 기억의 재형상화
2. 해석주체로서 독자의 위상
3. 기억 재형상화의 탐구방법

제2장 기억 재형상화의 문학교육적 가능성
1. 기억 재형상화의 개념
2. 기억 재형상화의 역할
3. 기억 재형상화의 문학교육적 의의

제3장 소설 읽기에서 기억의 재형상화 원리
1. 기억의 현실화 과정
2. 기억 재형상화를 통한 읽기

제4장 기억 재형상화에서 소설 읽기 교육의 실제
1. 실험 개요 및 감상문 분석
2. 기억의 재형상화 과정으로서 소설 읽기 방법
3. 기억 재형상화를 통한 소설 읽기의 실제
4. 기억 재형상화의 문학교육적 전망
부록

제2부 소설교육에서 기억의 역할

제1장 기억의 서술방식과 소설의 의미 탐구
1. 유년 시절의 원체험과 기억
2. 기억의 성격과 재생과정
3. 기억의 서술방식과 고백의 내용
4. 「자전거 도둑」에 나타난 기억의 의미

제2장 자전소설의 읽기 방법
1. 자전소설 읽기 교육의 목표
2. 자전소설의 양식적인 특징
3. 자전소설의 독서 행위 성격
4. 자전소설 읽기의 과정
5. 자전소설 읽기 교육의 의의

제3장 기억 구성원리와 표현교육
1. 기억의 정리와 서사 표현
2. 기억 구성과정의 성격
3. 기억의 서사 구성원리
4. 기억 구성의 표현교육적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