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고소설의 창작방법, 어떻게 다룰 것인가?
고소설의 창작방법, 어떻게 다룰 것인가?
1. 창작방법 연구의 필요성
2. 기존 창작방법 연구의 검토
3. 앞으로의 연구방향

제2장 인물
제1절 고소설 작중인물의 욕망과 형상
1. 논의의 필요성
2. 욕망과 인물 형상
3. 욕망, 현실, 이상의 관계
4. 인물 유형과 욕망의 향방
5. 결론

제2절 고소설 작중인물의 화법
1. 문제제기
2. 대화
3. 독백
4. 내면 언어
5. 화법의 기능과 상호 관계
6. 결론

제3절 고소설 작중인물의 율문과 산문
1. 문제를 보는 시각
2. 시, 가
3. 서간문
4. 상소문, 축원문, 제문
5. 율문과 산문의 기능 및 상호 관계
6. 결론

제3장 시간
제1절 고소설의 시간 표출 양상
1. 고소설의 시간에 대한 올바른 시각
2. 인물의 시간
3. 사건 전개의 시간
4. 서술 방식과 시간의 관계
5. 결론

제2절 고소설 시간의 유형과 상호 관계
1. 문제제기
2. 시간의 유형
3. 두 시간의 상호관계
4. 결론

제4장 공간
제1절 수중계 모티프 소설의 양상과 사상적 기반
1. 문제제기
2. 수중계 모티프 소설의 양상
3. 용궁의 잔치와 주인공의 성격 변화
4. 수중계 설정의 사상적 기반
5. 결론

제2절 동굴탐색소설의 성격과 이상향 설정방법
1. 서론
2. 동굴탐색소설의 양상과 성격
3. 동굴탐색의 동기와 이상향 추구의식
4. 이상향 설정방법을 통해 본 동굴탐색소설의 의의
5. 결론

제3절 군담소설에 나타난 공간과 영웅의 관계
1. 공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공간의 양상과 그 충분조건
3. 공간의 구성원리와 영웅의 위상
4. 공간과 영웅의 관계를 통해본 군담소설의 창작방법
5. 결론

제5장 화자
제1절 고소설 화자의 양상과 성격
1. 화자를 보는 시각
2. 주화자
3. 부수화자
4. 서술 상황과 화자간의 관계
5. 겨론

제2절 고소설 화자의 시점과 사물 인식
1. 문제 제기
2. 시점의 유형
3. 사회적 통념과 시점의 관계
4. 시점 선택과 사물인식의 방향
5. 결론

제6장 존재 확인의 장치
제1절 변신: 변신 모티프 소설의 양상과 그 존재론적 성격
1. 변신에 대한 기본 시각
2. 변신의 동기와 양상
3. 변신 주체의 환경과 존재론적 인식
4. 존재론으로 본 자의식의 발전 단계
5. 결론

제2절 성애: 고소설의 성애양상과 그 사회적 성격
1. 성애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성애와 금기의 관계
3. 성애 양상과 유혹의 방법
4. 성애의 사회적 성격
5. 결론

제3절 귀신: 귀신등장소설의 본질과 변모 과정
1. 문제 제기
2. 귀신등장의 존재론적 성격
3. 부조리한 환경과 귀신의 대응력
4. 환상세계를 통해본 귀신등장소설의 변모과정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