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한국문학의 바람직한 전개를 위하여
복수의 미학 ─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한 형상
1. 김영하의 『빛의 제국』으로부터
2. 한국인에게 부재한 복수의 심성
3. 내면을 상실 당한 자의 복수극 ― <빛의 제국>
4. 복수극의 현재적 양상들
5. 복수의 미학, 그 연원
6. 복수의 미학을 넘어

신물나는 환멸, 환상, 해체
가족 소재 소설로 읽는 한국 근현대 소설의 과거·현재·미래
1. 머리말
2. 개념의 정의와 문제 분석의 틀
3.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의 아비들
4. 1950년대 ― 무능한 아비들과 훼손된 딸들
5. 1960년대∼1980년대 ― 본격적 근대형성기의 아비들
6. 1990년대 이후 ― 일상 속으로 하강한 아비들과 사라진 남근
7. 마무리를 대신하여

대중문학 60년의 자취와 전망
매니아 예찬
한국인의 애정관 ─ 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

제2부 문예창작교육-무엇을, 어떻게
문예창작교육의 현황과 전망
1. 문예창작학과의 정체성으로부터
2. 창작 교육 과연 가능한가
3. 창작 기법과 교재 계발의 지속적 필요성
4. 창작정신의 전수 방법
5. 문학 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응 문제
6. 문학인의 자의식으로

문학과 문학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디지털 시대, 독서의 의의와 교육 방법
1 디지털 시대의 성격
2. 디지털 환경이 파생시키는 문제
3. 독서의 의의
4. 독서교육의 방법(1)
5. 독서교육의 방법(2)
6. 맺는말

잘 쓰기를 원하는 분들에게

제3부 근현대 작가론
성스러운 아비 되기의 근대적 성격 ― 김승옥 론
1. 머리말
2. 죄의식의 근원
3. 성스러운 아비 되기의 사적 의의
4. 위악의 변모 양상과 소설 세계 변모의 상관성
5. 맺는말

완벽한 주체의 추구, 그 시대적 성격 ─ 장용학 론(1)
1. 머리말
2. 자유에의 갈망과 매저키즘적 추동력
3. 고결한 자아, 비속한 세계
4. 사생아 의식의 함의
5. 완벽한 주체의 추구, 그 시대적 성격
6. 맺는말

부부재 의식의 궤적 ─ 장용학 론(2)
1. 머리말
2. 장용학 문학의 정점 ― <원형의 전설>
3. <원형의 전설> 이후
4. 맺는말

솔직한 폐쇄, 그 성취와 위험 ―하일지의 『경마장…』 시리즈에 대하여
이해조 신소설의 재평가―소설미학적 성취와 한계 및 그 연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이해조 신소설에 나타난 소설미학적 성취의 사례
3. 구성 측면에서 본 이인직 신소설과의 비교
4. 사실주의적 성취의 연원
5. 범작 양산量産의 연원
6.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