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디아스포라와 민족정체성
재일한인 소설연구 ─ 김학영과 이양지의 소설을 중심으로
1. 서론
2. 본론
3. 결론

강경애 문학의 간도와 디아스포라
1. 서론
2. 강경애의 수필에서 ‘간도’의 의미
3. 강경애의 소설에서 ‘간도’와 디아스포라
4. 결론

제2부 지역·근대화·탈식민주의
김정한 소설의 크로노토프 ─ ‘섬’을 공간으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
1. 서론
2. 바흐친과 크로노토프
3. 김정한 소설의 크로노토프
4. 결론

근대화 프로젝트와 탈식민주의 ─ 이문구의 「해벽海壁」을 중심으로
1. 서론
2. 근대화 프로젝트의 허구성-누구를 위한 근대화인가
3. 탈식민주의 문제의식과 타자의 서사
4. 생태학적 의식
5. 결론

제3부 젠더·공간·욕망
여성과 공간 현상학적 공간이론과 젠더정치학
1. 바슐라르의 현상학적 공간이론과 젠더정치학
2. 「아내의 상자」의 공간현상학
3. 결론

키스 또는 욕망, 그 끝없는 미끄러짐 ─ 박숙희의 『키스를 찾아서』를 중심으로
1. 잃어버린 키스를 찾아서
2. 절대 순수의 완전한 사랑
3. 키스 또는 욕망
4. 여자는 결혼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나혜석의 「어머니와 딸」과 대화주의
1. 뉴밀레니엄, 나혜석의 화려한 복권
2. 대화중심의 문체와 대화적 상상력
3. 제3의 길의 모색
4. 결론

제4부 서사의 다양성
이광수의 기독교 사상과 종교다원주의
1. 서론
2. 본론
3. 결론

박화성 소설연구 ─ 『북국의 여명』에 나타난 성숙의 플롯을 중심으로
1. 서론
2. 본론
3. 결론

김성종의 초기소설연구 ─ 중·단편을 중심으로
1. 서론
2. 본론
3. 결론

제5부 영상서사에 재현된 페미니즘 또는 정신분석
가족 이데올로기와 젠더의식 <부모님 전상서>를 중심으로
1. 서론
2. 한옥의 공간성과 전통적 가족주의
3. 남녀 성역할의 이분법과 이혼문제
4. 변화하는 아버지
5. 결론

변화 그리고 비가역성
─ 김기덕의 <시간>을 중심으로
1. 새로움 그리고 돌아갈 수 없는 것
2. 성형, 몸에 대한 폭력
3. 정체성의 부정 또는 유목민적 주체
4. 시간과 욕망

영화 <양철북>의 정신분석
1. 뉴저먼 시네마
2. <양철북>의 정신분석
3. 결론

일상 속의 파시즘과 소격효과
─ 파스빈더의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를 중심으로
1. 일상 속의 파시즘
2. 브레이트의 소격효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