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취성좌 연구―1929년 6월 경성 입성 이후를 중심으로
1. 연구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2. 취성좌의 출범과 레퍼토리의 축적
3. 중요 단원과 극단 구성
4. 취성좌 공연 작품과 극단 체제
5. 배우들의 이탈과 새로운 체제의 개막
6. 취성좌의 연극사적 위상
극단 조선연극사(朝鮮演劇舍) 연구
1. 조선연극사의 전사(前史)와 창립 배경
2. Ⅰ기 단성사 사용 전반기(1929년 12월 21일~1930년 12월) :
단성사 독점과 안정된 체계
3. Ⅱ기 조선극장 사용 전반기(1931년 3월 21일~1931년 7월) :
연극시장과의 경쟁
4. Ⅲ기 제일극장(미나도좌) 사용기(1932년 4월~1932년 6월) :
지계순 활약과 전옥의 부상
5. Ⅳ기 단성사 사용 후반기(1932년 8월 17일~1932년 10월) :
신무대와 단성사 무대 공유
6. Ⅴ기 조선극장 사용 후반기(1933년 4월 23일~1935년 12월) :
황철과 박영호와 홍해성의 시대
7. 조선연극사의 역사와 의의
연극시장(演劇市場) 연구
1. 연극시장의 전신(前身)과 창립 배경
2. Ⅰ기 : 단성사 사용 전반기(1931년 1월 31일~1931년 5월)
3. Ⅱ기 : 단성사 사용 후반기(1931년 6월 4일~1932년 7월) :
조선연극사와의 대립 및 연극시장의 성장
4. Ⅲ기(부활기) : 주변 극장 사용기(1933년 9월 27일~1937년 3월 20일 경) :
연극시장의 부활과 주변 극장 전전
5. 연극시장의 의미와 위상
극단 신무대 연구
1. 신무대 연구 현황과 문제 제기
2. 신무대의 출범과 시기 구분
3. 신무대 출범기(1기)의 특징(1931년 9월 10일~1932년 7월 8일)
4. 협동신무대 탄생기(2기)의 특징(1932년 7월 9일~1932년 9월 26일)
5. 연쇄극 제작기(3기)의 특징(1932년 9월 27일~1933년 11월 21일)
6. 스타 복귀기(4기)의 특징(1933년 11월 22일~1934년 5월 10일)
7. 단성사 신축기(5기)의 지방 순회공연
(1934년 5월 12일~1935년 2월 2일)
8. 직영 해제기(6기):신무대 말기(1935년 2월 3일~1937년 5월 말)
9. 신무대의 변화 과정과 연극사적 위상
극단 황금좌 연구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황금좌의 극단 진용
3. 황금좌 연극의 흐름과 공연사
4. 황금좌 배우의 면모와 개성
5. 공연 작품과 공연 전략
6. 대중극단으로서의 황금좌
극단 예원좌의 ‘막간’ 연구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공연 예제와 막간 구성
3. 예원좌의 막간 구성 변화 시도와 좌절
4. 예원좌 막간의 특성과 의의
1930년대 대중극단 ‘중앙무대’의 공연사 연구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중앙무대의 성립과 극단 목표
3. 중앙무대의 창단 공연과 극단 성향
4. 중앙무대의 후속 공연과 그 취지
5. 중앙무대와 단성사의 단기 협연
6. 중앙무대의 ‘혁신’과 연학년 체제로의 변모
7. 여타 극단과의 경쟁 구도와 중앙무대의 쇠퇴
8. 중앙무대 공연에 대한 비판과 극단 해체
9.중간극의 개념과 중앙무대의 실패
10. 중앙무대의 연극사적 위상과 의의
극단 고협(高協)의 창단 과정과 초기 공연사 연구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고협의 기원과 창립
3. 고협의 연극 기반
4. 창립부터 2년간 고협의 공연사
5. 창립 2주년까지 고협의 면모와 연극사적 의의
극단 아랑의 운영 방식 연구
1.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2. 아랑의 창단과 극단 운영 방안
3. 아랑의 작품 제작 방식과 극단 운영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