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근대와 자살의 문제
1. 비극적 세계관과 낭만성
2. 소설 속 죽음의 읽기방식
3. 자살소설의 연구범위
제2장 한국 근대소설에서의 낭만성과 자살
1. 낭만성과 자살
1) 자살의 문화사적 의미
2) 자살의 심리학ㆍ사회학적 근거
3) 낭만성의 발현으로서의 자살
2.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자살의 낭만적 의미
1) 서구와 일본의 경우
2) 한국의 경우
3) 한국 자살 모티브 소설의 계보
제3장 낭만적 죽음과 자살의 두 양상
1. 자아의 형성과 강화
1) 개체로서의 자아의 발견-「출학」, 「전제자」
2) 저항과 모색을 통한 자아각성-「제야」, 「눈을 겨우 뜰 때」
3) 온전한 주체로서의 자기완성-「12월 12일」
2. 세계에 대한 저항
1) 현실에 맞선 욕망-『환희』, 「물레방아」
2) 규범적 세계와의 투쟁-『유정』
3) 이상세계로의 회귀-「무녀도」
4) 식민지 폭력세계에 대한 항거-「패배자의 무덤」
제4장 결론
2부 희생제의 실현으로서의 죽음
제1장 심미적 가치의 추적과 획득
-김동인의 「배따라기」, 이태준의 「가마귀」, 황순원의 「별」을 중심으로-
1. 서론
2. 방랑과 미완의 노래-「배따라기」
3. 충만한 예술가 정신의 실현-「가마귀」
4. 현실을 통과한 이미지의 세계-「별」
5. 삶과 예술 합일의 미적 근대성
제2장 혁명으로 수렴하는 주체의 죽음
-조명희의 「낙동강」, 강경애의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1. 서론
2. 새 생활 창조의 힘-「낙동강」
3. 미래의 승리에 대한 희망-『인간문제』
4. 결론
제3장 「무녀도」, 「황토기」에 나타난 ‘새 질서 찾기’ 의식
1. 서론
2. 경쟁해소와 속죄의 의식(儀式)-「무녀도」
3. 복지(福地) 회복과 해방을 위한 힘겨루기-「황토기」
4. 근대와 반근대가 공존하는 ‘새 질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