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서문

제1부 전통음악사의 재인식

제1장 ''전통음악사''란 무엇인가?
제1절 전통음악에서 전통이란 무엇인가?
제2절 한국음악학과 한국음악사
제3절 ''전통음악사의 재인식''에서 시대구분
제4절 한국음악, 국악, 전통음악, 향악, 당악, 정악, 민속악

제2장 고대음악
제1절 고대음악의 뜻
제2절 고대음악 문화의 단면들
제3절 고대음악의 시대개요

제3장 중세음악
제1절 중세음악의 뜻과 시대범위
제2절 중세음악의 특징
제3절 중세후기(조선 초)의 시대상황
제4절 중세후기의 레퍼토리
제5절 중세후기(조선 전기)의 악서와 악보
제6절 중세후기 선비들의 음악

제4장 근대음악
제1절 임진왜란.병자호란과 근대음악의 시대상황
제2절 송경운과 김성기의 등장
제3절 근대음악의 성장과정
제4절 시조류 노래의 유행과 그 영향
제5절 육대강의 해체와 근대음악의 특징
제6절 근대음악의 여러 노래양식들
제7절 18세기 말의 판소리 등장
제8절 근대음악 시대에 활동한 음악인들
제9절 근대음악의 인식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제10절 근대의 개념과 앞으로의 과제

제5장 현대음악
제1절 현대음악의 개념과 시대상황
제2절 현대음악과 서양음악
제3절 현대음악에 나타난 특징
제4절 현대음악의 레퍼토리
제5절 현대음악과 한국음악에서 리듬의 특수성
제6절 현대음악의 문제점과 전망
제7절 전통예술 지원방법과 공연장(극장)

제6장 결론
''전통음악사의 재인식''을 마치며

제2부 토론자료

제1장 전통문화의 양상을 설명하는 ''보편적 이론''
제2장 현존 한국 전통음악에서 불교음악의 역할과 위치
제3장 전통음악에서 성악과 기악의 음역
제4장 음악의 기보법과 성음
제5장 음악에서 ''관례''와 ''음역''
제6장 글 쓰는 태오와 말하는 방법
제7장 음악사에서 본 17세기와 20세기
제8장 원불교 서광덕 교무를 만나고

제3부 악보

가산을 위한 피리 협주곡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