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1.2.1. 중세국어의 문헌 자료
1.2.2. 현대국어의 방언 자료
1.3. 연구 방법
1.3.1. 문헌 성조를 파악하는 관점
1.3.2. 성조 음운과정의 연구범위
1.3.3. 문헌자료의 구축 방법
1.3.4. 방언자료의 구축 방법
1.3.5. 성조체계의 기술과 그 변화의 기술에 대한 방법론
1.4. 선행연구
1.5. 자료 표기의 방법

2. 방점법 이론 |
2.1. 방점법 이론의 성립배경
2.2. 성조와 성조현상의 기술 방법
2.3. 창원방언과 정선방언의 방점형 대조
2.4. 방점형ㆍ성조형ㆍ음조형의 관계
2.5. 중세국어의 방점형
2.5.1.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평측형의 방점실현
2.5.2.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거성형의 방점실현
2.5.3.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상성형의 방점실현
2.5.4. 중세국어 평상형의 방점실현
2.5.5.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복합어의 방점실현
2.5.6.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한자어의 방점실현
2.6. 정리

3. 정선방언의 성조체계
3.1. Q-tone 청취등급을 이용한 성조분석 방법
3.2. 정선방언의 음조형 분석
3.2.1. 실험 목적
3.2.2. 실험 방법
3.2.3. 실험 결과
3.2.4. 실험 결과에 대한 논의
3.3. 정리

4. 정선방언의 성조의 공시론 |
4.1. 정선방언 토씨의 기저성조
4.2. 정선방언 이름씨의 성조
4.2.1. 거성형 이름씨와 /·에X/의 결합
4.2.2. 평측형 이름씨
4.2.3. 상성형 이름씨
4.3. 정선방언 이름씨의 간이 준굴곡형
4.3.1. 거성형 이름씨와 토씨의 결합
4.3.2. 평측형 이름씨와 토씨의 결합
4.3.3. 상성형 이름씨와 토씨의 결합
4.4. 정선방언 풀이씨의 성조
4.4.1. 씨끝의 방점 분석
4.4.2. 풀이씨 줄기의 성조 분류
4.4.3. 변동평성 풀이씨의 성조 변동
4.4.4. 다음절 풀이씨의 성조
4.5. 정선방언 풀이씨의 간이 굴곡형
4.5.1. 거성형 풀이씨 줄기와 씨끝의 결합
4.5.2. 평일형 풀이씨 줄기와 씨끝의 결합
4.5.3. 평복형 풀이씨 줄기와 씨끝의 결합
4.5.4. 상성형 풀이씨 줄기와 씨끝의 결합
4.5.5.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풀이씨
4.6. 정리

5. 정선방언 성조의 통시론 |
5.1. 문헌 방점 자료에 대한 관점
5.2. 중세국어와 현대방언의 방점 자료 정리 방법
5.3. 토씨의 방점 분석과 대응관계
5.4. 방점표상 대응관계의 분석 이론
5.5. 이름씨 방점 분석과 대응관계
5.6. 씨끝의 방점 분석과 대응관계
5.7. 풀이씨 방점 분석과 대응관계
5.7.1. 고정거성 풀이씨의 대응관계
5.7.2. 고정상성 풀이씨의 대응관계
5.7.3. 변동상성 풀이씨의 대응관계
5.7.4. 변동평성 풀이씨의 대응관계
5.8. 1음절 풀이씨 방점의 대응관계
5.8.1. 거성 풀이씨의 대응관계
5.8.2. 상성 풀이씨의 대응관계
5.8.3. 평성 풀이씨의 대응관계
5.8.4. 방점의 부분대응과 어긋나는 대응관계
5.9. 성조형과 음조형의 변화
5.10. 정리

6.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