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본원적인 정치의식과 시민성
1. 올바른 민주주의 운용
2. 내재적 방법과 체험을 통한 설명과 해석
2장
정치의식과 시민성의 의미
1. 정치와 집단에 대한 의식과 행위
1.1. 정치의식의 개념 정의
1.2. 정치의식과 도덕
2. 공평한 참여와 존중 및 자율
2.1. 평등과 개방적 자율성
2.2. 시민성과 민주주의 정신
2.3. 시민성과 도덕교육
3. 정치의식과 시민성의 관계
3.1. 정치의식과 시민성의 특성
3.2. 시민성의 성격을 지닌 정치의식
3.3. 시민성의 바탕으로서의 정치의식
2부 한국인의 정치의식
3장
한국인의 정치의식 구성
1. 관용 / 자주성 / 통합성의 표출
1.1. 개인과 집단에서 보는 시국관
1.2. 보편적인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노력
2. 자주 / 평화 / 통합의 지향
2.1. 탈냉전시대로의 진입
2.2. 화해 / 불가침 / 교류 / 협력 정신
2.3. 남북통합 정신
3. 민주 / 정의 공동체의 추구
3.1. 훼손된 1960년대의 민주주의
3.2. 부 / 마민주화항쟁에서의 민주정신
3.3. 광주민주화항쟁에서의 시민의식
3.4. 6월민주화항쟁에서의 민주국가관
4. 자주민 / 통일한국인 / 민주시민
4.1. 민주화운동과 남북통합의 추진
4.2. 관용 / 개방적인 통일관과 민주국가관
3부 한국인의 시민성
4장
한국인의 시민성 구성
1. 공동체의식과 개방성
1.1. 한국적 시민성의 연원
1.2. 한국적 시민성과 서구적 시민성
1.3. 공동체의식으로서의 특성과 사례
1.4. 개방성으로서의 특성과 사례
2. 인간존중 / 정의 / 미래지향성과 사례
2.1. 하늘의 법칙을 따르는 존재
2.2. 문명 속의 경쟁
2.3. 백마 타고 오는 초인
3. 평등 / 다양성 / 관용과 사례
3.1. 남을 업신여기지 않기
3.2. 제 빛깔과 제 멋
3.3. 너그러움
4부 한국적 시민성과 도덕교육
5장
한국적 시민성의 도덕교육적 함의
1. 개선이 요청되는 도덕교육
1.1. 한국적 시민성과 도덕교육의 관계
1.2. 도덕교육을 둘러싼 현실
1.3. 도덕교육의 실질적인 문제
2. 도덕교육의 보완
2.1. 한국적 시민성의 도덕교육적 의의
2.2. 도덕교육의 목표 및 내용의 보완
3. 도덕교육의 발전방향
3.1. 도덕공동체적 측면
3.2. 도덕교육의 목표 및 내용적 측면
6장
발휘되어야 할 정치의식과 시민성
1. 수준 높은 정치의식과 시민성
2. 한국적 시민성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