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근대 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대담] ‘국어(과)’ 교과서의 등장과 사회문화사

제1부 전통과 근대

‘국어’ 교과서의 탄생과 근대 민족주의
: <국민소학독본>(1895)을 중심으로 [강진호]
유교적 신민 창출과 고전(古典)의 인양(引揚)
: <소학독본>(1895)의 재검토 [유임하]
교과서의 차용과 번안
: <신정심상소학>(1896)의 경우 [구자황]

제2부 교육과 정치

국정(國定) 국어 교과서의 정치학
: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학부 편찬, 1907)을 중심으로 [김혜련]
체계화된 형식에 담긴 일제의 계몽 담론
: ‘교과서의 위상’을 통해 본 <보통학교용 국어독본>(1907)의 특징 [박치범]
학부검정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과 친일의 양면성
: <신찬초등소학>(1909)과 학부 편찬 교과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민영]

제3부 신지식과 계몽

근대 국가주의 교육관의 성립 과정
: 현채(玄采)의 <유년필독(幼年必讀)>을 중심으로 [이정찬]
여성 교과서의 열녀전(列女傳/烈女傳), 그리고 애국부인들
: 장지연의 <여자독본>(1908)을 중심으로 [문혜윤]
노동자 교육을 둘러싼 지식의 절합과 계몽의 정치성
: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1908)을 중심으로 [조윤정]
혼란 속에서 싹튼 여성 신교육의 맹아
: <초등여학독본(初等女學讀本)>(1908)을 중심으로 [박선영]
근대 어린이 독본과 계몽의 서사 그리고 어린이 발견
: <어린이讀本>을 중심으로 [장영미]

제4부 담론과 문체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와 계몽의 언어
: <고등소학독본>(1906)을 중심으로 [김찬기]
근대계몽기 ‘국어교과 독본류’의 문체
: 학습자와의 상관 관계를 중심으로 [이상혁?권희주]
실험기에 놓인 한글 문체의 변화
: <신찬초등소학>(1909)을 중심으로 [최석재]

부록
[부록 1] 박붕배 선생 강연
[부록 2] 개화기 교과서 연구 목록
[부록 3] 개화기 교과서 목록

발표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