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전통사회의 교육

제1장 고대사회의 교육
1. 단군신화(檀君神話)의 사상적 의미
2. 성년식(成年式)의 교육적 의의

제2장 삼국시대의 교육
1. 삼국시대의 문화와 교육
2. 학교제도

제3장 고려시대의 교육
1. 고려의 문화와 교육
2. 학교제도
3. 과거제도와 교육

제4장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의 문화와 교육
2. 학교제도
3. 과거제도와 교육

제5장 조선시대의 실학사상(實學思想)
1. 실학사상의 개요
2. 실학자들의 교육사상가(敎育思想家)
3. 실학사상의 교육사적인 의미

제2부 근대사회의 교육

제6장 한국 근대교육의 형성과 발달
1. 한국 근대교육 성립의 사회적 배경
2. 한국 근대교육의 수용
3. 한국 근대학교 초기 설립의 의미
4. 갑오개혁(1894)과 근대교육법의 제정
5. 한국 근대교육의 사상적 흐름

제7장 일제식민지 시기의 교육
1. 일제의 식민교육의 특징
2. 일제의 식민교육 추진 과정
3. 민족교육운동과 식민교육의 저항
4. 일본의 식민교육과 한국 근대교육의 정체

제8장 해방 이후의 한국교육
1. 미군정기의 교육정책
2. 대한민국정부 수립 초기의 교육

제9장 한국교육의 발전
1. 1950년대의 한국교육
2. 1960년대의 한국교육
3. 1970년대의 한국교육
4. 1980년대 이후 한국교육

제3부 한국교육사상가 연구

제10장 가정서사연구(설립자 유중교)
1. 서론
2. 가정서사 설립의 시대적 배경
3. 성재 유중교의 강학활동
4. 가정서사의 교육실제
5. 강원교육의 전통과 위상으로서의 교육적 의미

제11장 유중교의 교육사상
1. 서론
2. 유중교의 생애
3. 유중교의 교육사상
4. 유중교의 가정교육
5. 결론

제12장 남궁억의 교육사상
1. 한서의 생애와 활동
2. 강원도에서의 교육활동

제13장 안창호의 교육사상
1. 도산의 생애와 업적
2. 도산사상의 형성
3. 도산의 개조사상과 교육
4. 교육목적
5. 도산의 교육방법
6. 교육사적 의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