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정시의 근본 문제
1. 상징과 알레고리 11
2. 서정시와 서사시 14
3. 서정시와 목소리 16


제1부 상징 시학에서 알레고리 시학으로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
1. 연구 목적 21
2. 철학적 입론의 성과와 한계 22
3. 문학적 관습과 언어적 차이 25
4. 시학과 시가사의 관련 양상 41
5. 결론 45

알레고리 시학으로 본 <어부사시사>
1. 서론 51
2. 상징과 알레고리 54
3. <어부사시사>의 수사적 특징 60
4. 알레고리의 세계관적 의미 66
5. 결론 70

17세기 전가시조의 서정적 리얼리티
1. 서론 75
2. 환상적 리얼리티와 모방적 리얼리티 77
3. 환상과 모방의 알레고리적 결합 82
4. 알레고리와 田家時調 90
5. 결론 95


제2부 서정시적 지향과 서사시적 지향

사설시조의 우화적 내면 표현
1. 서론 103
2. 리얼리즘적 지향과 내면 표현의 상충 108
3. 우화를 통한 내면의 사실적 재현 112
4. 우화적 비전(vision)의 시학적 의미 120
5. 결론 125

사설시조의 장형성
1. 서론 129
2. 서정시와 서사시 132
3. 장형화의 양상과 의미 136
4. 결론 150

사설시조의 희극적 특징
1. 문제제기 155
2. 희극성의 정의 158
3. 사설시조에 나타난 희극성 161
4. 희극성의 시학적 의의 173
5. 결론 180

사설시조와 여성의 수사적 상황
1. 서론 184
2. 사설시조의 중층성과 여성 187
3. 성적 욕망의 수사적 상황 192
4. 여성 형상의 통시적 변모 203
5. 결론 212


제3부 단일한 목소리와 혼효된 목소리

󰡔가곡원류󰡕 시조의 서정시적 특징
1. 서론 219
2. 󰡔가곡원류󰡕의 시조 선별 양상 225
3. 󰡔가곡원류󰡕 시조의 순수 서정시적 특징 271
4. 󰡔가곡원류󰡕의 문학사적 의의 298
5. 결론 312

소설 수용 시조의 장르 변동 양상
1. 서론 321
2. 소설 수용 시조의 담화 방식 328
3. 소설 수용 시조의 장르 유형 346
4. 장르 변동의 양상과 의미 362
5. 결론 392

고전시가의 서정성과 비유기적 노랫말
1. 문제제기 400
2. 비유기적 노랫말의 해석 방법 404
3. <제비가> 분석의 예 411
4. 비유기적 시가의 서정시적 가능성 421
5. 결론 426


찾아보기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