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하권

제7장 갚음론(報答論)

Ⅰ. 들어가기
Ⅱ. 보(報): 선악의 미적(美的) 대상
제284사(事) 보(報: 갚음)-규장각본, <가곡원류> 87-
제285사(事) 적(積: 쌓음)-<나무꾼과 선녀>-
제286사(事) 세구(世久: 대를 이어 오래됨)-<춘향전>의 농부가-
제287사(事) 무단(無斷: 끊어짐이 없음)-향가(鄕歌) '풍요' (風謠)-
제288사(事) 익증(益增: 더하여 증가함)-<여유당전서> 권 14 김만덕-
제289사(事) 정수(庭授: 가정에서 이어 나감)-문묘에 배향(配享)된 부자(父子)-
제290사(事) 천심(天心: 하늘마음)-이천보의 <진암집>(晋庵集)-
제291사(事) 자연(自然: 저절로 그러함)-<보한집>의 최충 부자(父子)-
제292사(事) 중(重: 큼)-조수삼(趙秀三)의 <추재집>(秋齋集)-
제293사(事) 유조(有早: 일찍 있음)-최치원의 <계원필경(桂苑筆耕)>-
제294사(事) 공실(恐失: 잃을까 두려워함)-<경주 최부잣집 300년>-
제295사(事) 면려(勉勵: 힘쓰고 권장함)-<여유당전서> '두 아들에게 알림'-
제296사(事) 주수(株守: 뿌리지킴)-유치환(柳致環)의 '바위'-
제297사(事) 척방(斥謗: 비방을 물리침)-<진본청구영언> 420주랴-
제298사(事) 광포(廣佈: 널리 폄)-영조의 '금오서원문'(金烏書院文)-
제299사(事) 창(?: 시작함)-윤동주의 <새벽이 올 때까지>-
제300사(事) 유구(有久: 오래됨)-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
제301사(事) 유린(有隣: 이웃이 있음)-<진본청구영언> 380-
제302사(事) 기연(其然: 그러함)-<삼국유사> 선율환생(善律還生)-
제303사(事) 자수(自修: 스스로 닦음)-'덕진교(德津橋) 설화'-
제304사(事) 불권(不倦: 게으르지 않음)-균여의 '예경제불가'-
제305사 욕급(欲及: 이르고자 함)-‘노힐부득 달달박박’의 설화-
제306사(事) 영(盈: 가득 참)-'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의 죄업-
제307사(事) 습범(襲犯: 범죄를 물려받음)-<콩쥐팥쥐전>의 팥쥐-
제308사(事) 연속(連續: 연이어 계속함)-우화시(寓話詩) '이로행'(?奴行)-
제309사(事) 유가(有加: 더함이 있음)-<금화사몽유록>(金華寺夢遊錄)-
제310사(事) 전악(轉惡: 악함을 전함)-<사씨남정기>의 교씨와 동청-
제311사(事) 대(大: 큼)-<진본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 487-
제312사(事) 감상(勘尙: 죄를 더함)-<사씨남정기>의 교씨 죄상-
제313사(事) 무탄(無憚: 두려워함이 없음)-<김인향전>의 계모 정씨-
제314사(事) 취준(驟峻: 갑자기 험악해짐)-<춘향전>의 수청 강요-
제315사(事) 외선(外善: 겉으로만 착함)-<명주보월빙>의 성난화-
제316사(事) 소(小: 작음)-<심청전>의 뺑덕어미-
제317사(事) 배성(背性: 본성을 버림)-<매일신문>의 '창씨(創氏)와 나'-
제318사(事) 단련(斷連: 끊고 이음)-<사씨남정기>의 요악(妖惡)-
제319사(事) 불개(不改: 고치지 못함)-<대한매일신보> 중 '권고현내각'-
제320사(事) 권린(勸隣)-<심산유고>ㆍ'양가비수'(梁家匕首)-
Ⅲ. 나오며

제8장 응함론(反應論)

Ⅰ. 들어가기
Ⅱ. 응(應)ㆍ진선미(眞善美) 의식
제321사(事) 응(應: 응보)-<춘향전>의 변 부사와 춘향의 응보-
제322사(事) 적(積: 쌓음)-<구운몽>(九雲夢)의 몽유공간의 삶-
제323사(事) 극존(極尊: 지극히 존귀함)-<어천가>(御天歌)의 덕화(德化)-
제324사(事) 거유(巨有: 크게 소유함)-<古今歌曲> 259의 덕치(德治)-
제325사(事) 상수(上壽: 오래 삶)-<槿花樂府> 28의 요순(堯舜) 장수(長壽)-
제326사(事) 제손(諸孫: 여러 자손)-<보한집> 상권의 적선가(積善家)-
제327사(事) 강녕(康寧: 건강하고 편안함)-<춘향전>의 이몽룡(李夢龍)-
제328사(事) 선안(仙安: 신선의 안락함)-<전우치전>의 도술-
제329사(事) 세습(世襲: 대대로 물려받음)-<백학선전>의 가문전통-
제330사(事) 혈사(血祀: 피로 제사 지냄)-정몽주(鄭夢周)의 만세 스승상(像)-
제331사(事) 중(重: 무거움)-<전우치전>의 대종신리(大倧神理)-
제332사(事) 복중(福重: 복이 거듭 쌓임)-<보한집>(補閑集) 상권의 시-
제333사(事) 옥백(玉帛: 옥과 비단)-<흥부전>의 흥부-
제334사(事) 절화(節化: 절개로 화함)-<야은선생언행언행습유속집>의 절의-
제335사(事) 현예(賢裔: 어진 후손)-'서동요'(薯童謠)의 서동-
제336사(事) 건왕(健旺: 굳건하고 왕성함)-권근의 '하탄일전'(賀誕日箋)-
제337사(事) 길경(吉慶: 길하고 경사스러움)-<춘향전> 춘향의 절개-
제338사(事) 세장(世章: 대대로 문장)-삼주(三洲) 이정보(李鼎輔)의 시조-
제339사(事) 담(淡: 맑음)-송순(宋純)의 '금오산'(金烏山)-
제340사(事) 응복(應福: 복에 응함)-채제공(蔡濟恭)의 '한거'(閑居)-
제341사(事) 유고(裕庫: 넉넉한 창고)-'영종대왕전교'의 은전(恩典)-
제342사(事) 무액(無厄: 액이 없음)-퇴계의 '과선생려'(過先生閭)-
제343사(事) 이수(利隨: 이익이 따름)-김종직의 '이존녹어'(彛尊錄語)-
제344사(事) 천권(天捲: 하늘의 걷힘)-야은의 생활을 반영한 한시(漢詩)-
제345사(事) 영(盈: 가득 참)-16세기 어무적(魚無迹)의 '금오산'-
제346사(事) 뇌진(雷震: 우레와 벼락)-<숙향전>의 벼락 응징(膺懲)-
제347사(事) 귀갈(鬼喝: 귀신의 부름)-<숙향전>의 전생 죄 업보-
제348사(事) 멸가(滅家: 집안이 멸함)-<삼국유사> 의 '조신조'(調信條)-
제349사(事) 절사(絶祀: 제사가 끊어짐)-<춘향전>의 기자정성(祈子精誠)-
제350사(事) 실시(失屍: 시신을 잃음)-<금방울전>의 김삼랑-
제351사(事) 대(大: 큼)-<변강쇠전>의 변강쇠-
제352사(事) 인병(刃兵: 병사들의 칼날)-<유충렬전>의 정한담-
제353사(事) 수화(水火: 물과 불)-<유충렬전>의 충렬-
제354사(事) 도적(盜賊: 해로운 도둑)-<사씨남정기>의 동청 업보(業報)-
제355사(事) 수해(獸害: 짐승의 피해)-<장화홍련전>의 장쇠-
제356사(事) 형역(形役: 형벌의 노역)-고소설상 주인공의 죄업(罪業)-
제357사(事) 천라(天羅: 하늘의 그물)-<춘향전>의 천상의 죄과(罪科)-
제358사(事) 지망(地網: 땅의 그물)-신석정의 '슬픈 구도'(構圖)-
제359사(事) 급신(及身: 몸에 미침)-<숙향전>의 숙향 사기(邪氣)-
제360사(事) 소(小: 작음)-<古今歌曲> 12의 선악-
제361사(事) 빈궁(貧窮: 가난하여 궁색함)-<흥부전>의 놀부 인과관계-
제362사(事) 질병(疾病: 모든 병)-<개벽>(開闢) 65호의 '조선병'-
제363사(事) 패망(敗亡: 실패하여 망함)-이상화의 '통곡'(慟哭)-
제364사(事) 미실(靡室: 가족이 없음)-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觀優戱)-
제365사(事) 도개(道?: 길에서 구걸함)-한용운의 '당신을 보았습니다'-
제366사(事) 급자(及子: 자손에게 미침)-<삼국유사> 권3 '조신'의 삶-
Ⅲ. 나오며

부록 홍익오경(弘益五經)

Ⅰ. <천부경>(天符經)
Ⅱ. <지부경>(地符經)
Ⅲ. <인부경>(人符經)
Ⅳ. <삼일신고>(三一神誥)
Ⅴ. <참전계경>(參佺戒經)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