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 4
1부 유래와 인물이 있는 한국 고사성어
1장 유래(由來)
두문지의(杜門之義)
두문불출(杜門不出) : 문을 막아 의로움을 지킨다 = 15
이전투구(泥田鬪狗) :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 = 17
막비천운(莫非天運) : 하늘의 운은 막지 못한다는 말
함흥차사(咸興差使) : 한번 간 사람이 소식이 없다 = 19
흥청망청(興淸亡請) : 돈이나 물건을 아끼지 않고 함부로 쓰는 것 = 23
쇄골표풍(碎骨飄風) : 뼈를 갈아 바람에 날려버리다 = 25
송도삼절(松都三絶) : 개성에서 뛰어난 세 존재 = 27
용몽압권(龍夢壓券) : 용꿈이 압권이다 = 29
도모지(塗貌紙) : 물 묻힌 종이를 바른다 = 31
아사리판(阿闍梨判) : 질서가 없이 여럿이 어지럽게 어울린다 = 33
야단법석(野壇法席) : 떠들썩하게 시끄럽고, 여럿이 모여서 다투고, 시비하는 모양 = 36
이판사판(理判事判) : 막다른 데에 이르러 어찌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다 = 38
왕이려이(王耳驢耳) :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 40
자린고비(玼吝考妣) : 돈이나 물질을 지나치게 아끼는 구두쇠 = 43
안성제기(安城製器)(안성맞춤) : 안성에서 만든 그릇이라는 말 = 45
아차실기(峨嗟失期) : 잘못을 깨달았을 때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탄식 소리 = 47
이태성동(梨太成洞) : 배가 커서 이루어진 마을 = 49
고시례(高矢禮) : 고시에게 드리는 예 = 51
묘항현령(猫項懸鈴)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 53
도이봉부(刀以逢父) : 칼로 인하여 아버지를 만나다 = 55
토지간계(兎之肝計) : 토끼 간의 계략 = 57
관명승진(觀命昇進) : ''이관명''의 승진 = 60
재롱십희(才弄十喜) : 아이에게 심성교육을 할 때 시키는 열 가지 재롱 = 63
2장 인물(人物)
국조단군(國祖檀君) : 단군왕검을 가리키는 말
홍익인간(弘益人間)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 = 69
왕불식언(王不食言) : 온달과 평강, 왕은 거짓말 하면 안 된다 = 72
견훤지말(甄萱之末) : 견훤의 좋지 못한 끝맺음 = 76
태사지몽(太師知夢) : 최총진, 큰 스승 ''지몽(知夢)'' = 80
삼촌설격퇴적(三寸舌擊退敵) : 서희, 세 치 혀로 적을 물리치다 = 84
해동공자(海東孔子) : 최충의 별호 = 89
당금여석(當金如石) : 최영, 황금 보기를 당연히 돌같이 하라 = 92
기부기자(其父其子)/부전자전(父傳子傳) : 최무선, 그 아버지에 그 아들 = 94
여시여시(汝是汝是) : 황희, 너의 말이 옳고, 너의 말도 옳다 = 97
칠삭위인(七朔偉人)/칠삭동(七朔童) : 한명회, 비정상적으로 태어나 영화를 누리다 = 99
선방귀객(先訪貴客) : 문정왕후, 먼저 방문하는 사람이 귀한 손님 = 101
소학동자(小學童子) : 김굉필,《소학》을 배우는 아이 = 103
예이태교(禮以胎敎) : 신사임당, 예로써 태교를 하다 = 104
월사부인(月沙夫人) : 월사 이정귀 대감의 부인 = 107
재다수화(財多隨禍) : 이지함, 재물을 지나치게 많이 가지면 화가 따른다 = 111
홍의장군(紅衣將軍) : 곽재우, 붉은 옷을 입고 싸우는 장군 = 114
물언아사(勿言我死) : 이순신,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
백의종군(白衣從軍) :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 싸움터로 감 = 116
물위모과(勿謂母過) : 조헌, 어머니의 허물을 말하니 차마 듣지 못하겠다
칠백의총(七百義塚) = 118
포요투강(抱腰投江) : 논개, 적장의 허리를 붙잡고 강물에 뛰어들다 = 120
도정누란(到整累卵) : 사명당, 달걀을 거꾸로 쌓다 = 122
맥반정승(麥飯政丞) : 김종수, 보리밥 정승 = 126
칠세입춘(七歲立春) : 김정희, 일곱 살에 입춘방을 쓰다 = 128
팔왕지한(八王之恨)/녹두장군(綠豆將軍) : ''팔왕'' 전봉준의 한 = 130
2부 주제별 한국 고사성어
3장 지혜ㆍ지략
타금지단(拖錦之端) : 김시습, 비단의 끝머리를 끌다 = 139
와이구명(蛙以求命) : 개구리로 사람의 생명을 구하다 = 142
불안돈목(佛眼豚目) : 부처님의 눈에는 부처로만 보이고 돼지의 눈에는 돼지로만 보인다 = 143
이언치부(耳言致富) : 귓속말로 돈을 벌다 = 145
이무담량(李武膽量) : 송시열 앞에서 ''이무''의 배짱과 재기 = 147
무접무향(無蝶無香) : 선덕여왕, 나비가 없으므로 향기가 없을 것이다 = 149
매몽득화(買夢得華) : 김유신의 동생 문희, 꿈을 사서 영화를 얻다 = 152
내심구압(耐心求鴨) : 인내심이 오리를 구하다 = 154
공수편매(共水騙賣) : 봉이 김선달, 대동강 물을 팔아 먹다 = 156
가도공명(假道攻明)/정명가도(征明假道) : 길을 빌려서 명나라를 침공한다 = 160
노화삽관(蘆花揷冠) : 모자에 갈대꽃을 꽂아 비밀리에 일을 도모하다 = 162
차충공적(借蟲攻敵)/주초위왕(走肖爲王) : 조광조, 벌레의 힘을 빌려 적을 공격한다 = 165
소력탈국(消力奪國) : 장수왕, 힘 빠지게 하여 나라를 침공하다 = 168
4장 성패ㆍ정치ㆍ처세
자사타천(自辭他薦) : 을파소, 자기는 사양하고 타인을 추천하다 173 = 173
축심동인(畜心同人) : 동물의 마음도 사람의 마음과 같다.
불언장단(不言長短) : 남의 장점과 단점을 드러내 말하지 않는다 = 176
화왕지계(花王之戒) : 꽃 왕의 가르침 = 177
능자승당(能者昇當) : 능력 있는 자가 승진하는 것은 당연하다 = 180
우혁좌초(右革左草) : 오른쪽은 가죽신이고, 왼쪽은 짚신 = 184
기호지세(騎虎之勢) : 호랑이를 탄 기세 = 188
과욕패가(過慾敗家)/패가망신(敗家亡身) : 욕심이 지나치면 집안을 망친다 = 190
서금일롱(書衾一籠) : 재산은 책과 이불과 농 하나뿐 = 191
공사무사(公事無私) : 공적인 일에는 사적인 감정이나 정실이 없다 = 193
삼마태수(三馬太守) : 세 마리의 말만 가진 태수 = 195
상불개상(尙不開箱) : 아직 상자를 열지 않았다 = 197
망승도수(忙僧渡水) : 되는 일 없이 이리저리 꼬이기만 한다 = 199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 동쪽에서 밥 먹고, 서쪽에서 잠잔다 = 201
한비욕강(恨比辱强) : 원한을 사느니 잠시 욕을 듣겠다 = 203
5장 마음ㆍ철학
이심전심(以心傳心) :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다 = 207
심통주작(心通酒酌) : 마음이 서로 통하면 술을 대작한다 = 208
위애투금(爲愛投金) : 형제의 의를 위하여 금을 버린다 = 211
인사수심(人事隨心) : 사람의 일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 213
유신지마(庾信之馬) : ''김유신''의 말(馬) = 216
기과필화(氣過必禍) : 기가 지나치면 반드시 화를 입는다 = 218
매화매락(賣畵買樂) : 그림을 팔아 즐거움을 사다 = 221
생요왕형 사후불형(生樂王兄死後佛兄) : 살아서는 임금의 형이요, 죽은 뒤에는 부처의 형이다 = 223
보은단동(報恩緞洞) : 은혜를 베푼 사람이 살았던 동네 = 225
면귀심수(面鬼心水) : 얼굴은 귀신처럼 추하지만 마음은 물처럼 맑다 = 228
모비지덕(貌比智德) : 외모보다는 지혜와 덕 = 230
신토불이(身土不二) : 몸과 흙은 둘이 아니라 하나 = 233
하생하사(何生何死) : 태어나는 것은 무엇이고 죽는 것은 무엇인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 세상사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 235
구용(九容) : 심신 수양에 필요한 아홉 가지 태도와 몸가짐 = 238
반궁자성(反躬自省)잘못된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다 = 241
6장 사랑ㆍ충효
지귀심화(志鬼心火) : 지귀 마음의 불
심화요탑(心火繞塔) : 《수이전》에 실린 설화 = 245
천생배필(天生配匹) : 태어날 때 하늘이 정해준 배우자 = 247
청사등롱(靑紗燈籠)(청사초롱) : 신랑이 신부 집 갈 때 앞세우고 가는 등 = 249
도미지처(都彌之妻) : ''도미의 아내'' = 251
계림지신(鷄林之臣) : 신라의 신하
망부석(望夫石) : 남편을 기다리다 그대로 돌이 되다 = 253
무영무애(無影無愛) : 무영탑, 그림자가 없으면 사랑도 없다 = 260
처용지애(處容之哀) : ''처용''의 슬픔 = 263
홍랑단심(洪娘丹心) : 기생 ''홍랑''의 정성스러운 마음 = 265
마의태자(麻衣太子) : 마의(麻衣)를 입고 산으로 들어가 절개를 지킴 = 269
계살처노(階殺妻) : 계백이 처자식을 죽이다
오천결사(五千決死) = 271
진화구주(鎭火救主) : 개가 불을 꺼서 주인을 구하다 = 273
의기구명(義氣求命) : 의로운 기상은 생명을 구한다 = 276
별실지록(別室之祿) : 별실에 쌓아둔 녹봉 = 278
위충위효(爲忠違孝) : 나라에 충성하려 하니 부모에게 효도를 못하게 된다 = 280
실기치명(失期恥命) : 때를 놓치면 목숨이 수치스럽다 = 282
지은지효(知恩之孝) : ''지은''의 효도
효녀지은(孝女知恩) = 286
안가팔효(安家八孝) : 안 씨 집안의 여덟 가지 효도 = 288
부록 : 우리나라 속담 = 292
찾아보기
고사성어 찾아보기 = 327
인물 찾아보기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