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려 수난기의 시문가의 사명
1. 일제 강점기의 시인들의 사명(이헌구 론) = 9
2. 고려 수난기의 한림들의 사명 = 12
Ⅱ. 고려의 별곡체 시가
1. 우리의 시가는 별곡가사로부터 시작 = 23
(1) 별곡체(別曲體) 시가 문학이란? = 24
(2) 별곡체 가요와 전해준 문헌 = 37
2. 일편단심의 미학인 고려별곡가사 = 40
(1) 충군(忠君) 애민(愛民) 정신 = 40
(2) 불변의 원리 = 40
(3) 공동 운명체로서 ''나라''의 의미 = 41
(4) 일편단심의 미학 = 42
(5) 신라 통일의 정신적 바탕 = 43
(6) 거룩한 에피소드(Episode) = 44
(7) 유전(遺傳)되어 오는 고려의 별곡가사 = 46
(8) 고려 때 별곡체 가사, 그 주제와 해석 = 47
3. 고려 별곡체 가사와 그 재해석
(1) 한림별곡 = 49
(2) 청산별곡 = 65
(3) 서경별곡 = 82
(4) 동동 = 87
(5) 정읍사 = 93
(6) 정과정(삼진작) = 97
(7) 처용가 = 100
(8) 가시리 = 108
(9) 정석가 = 111
(10) 만전춘별사 = 115
(11) 쌍화점 = 119
(12) 이상곡 = 124
Ⅲ. 고려 한림제가의 우국애민하던 일편단심의 한시ㆍ문 = 127
최충(崔沖 ; 984∼1068) = 128
박인량(朴寅亮 ; ?∼1096) = 131
김부식(金富軾 ; 1075∼1151) = 140
이지저(李之底 ; 1092∼1145) = 200
최유청(崔惟淸 ; 1095∼1174) = 206
정지상(鄭知常 ; ?∼1135) = 214
임춘(林椿 ; ?∼1170) = 223
오세재(吳世才 ; 1133∼1187) = 233
이인로(李仁老 ; 1152∼1220) = 238
유원순(俞元淳 ; 1168∼1232) = 258
김양경(金良鏡 ; 1168∼1235) = 268
이규보(李奎報 ; 1168∼1241) = 279
고조기(高兆基 ; ?∼1157) = 308
김극기(金克己 ; 1171∼1197) = 311
최자(崔滋 ; 1188∼1260) = 330
조통(趙通 ; 1197∼?) = 355
진화(陳澕 ; 1200∼?) = 357
민광균(閔光鈞 ; ?∼?) = 366
이공로(李公老 ; ?∼1224) = 368
이조년(李兆年 ; 1269∼1343) = 374
최해(崔瀣 ; 1287∼1340) = 376
이곡(李穀 ; 1298∼1351) = 387
이색(李穡 ; 1328∼1396) = 406
정몽주(鄭夢周 ; 1337∼1392) = 428
이숭인(李崇仁 ; 1349∼1392) = 439
길재(吉再 ; 1353∼1419) = 452
대각국사(大覺國師 ; 1055∼1101) = 455
승 천인(天因 ; 1205∼1248) = 457
맺는 말 ; 발문을 곁들여 = 465
색인 =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