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 언어기원론
1.1. 도입
1.2. 언어기원론에 대한 개념 정의
1.3. 계통발생적 언어고찰
1.4. 개체발생적 언어고찰
2. 언어와 사고
2.1. 도입
2.2. 선험적 언어개념
2.3. 언어와 사고의 단일성
2.4. 「말하기」와 「이해」
3. 언어유기체 사상
3.1. 도입
3.2. 언어유기체 개념의 발전과정
3.3. 언어유기체 개념의 본질
4. 언어의 형식과 소재
4.1. 도입
4.2. 형식과 소재의 상관성
5. 대화 개념의 본질
5.1. 도입
5.2. 근원적인 접근방향
5.3. 대화의 이원론
6. 보편적 일치 속에서의 언어의 개별화
6.1. 도입
6.2. 인류학적 관점에 따른 해석
6.3. 언어의 개별성과 보편성
6.3.1. 언어적 민족의 고유성
6.3.2. ''개별적인 말''의 본질 규정
6.3.3. 언어의 개별성과 보편성의 관계
7. 언어의 세계관에 대한 본질 규정
7.1. 도입
7.2. 세계관 개념의 이해
7.3. 모국어적 세계관 해명의 방법론
8. 언어와 교육
8.1. 도입
8.2. 작용하는 인간의 힘
8.3. 인간 교육의 척도이자 수단으로서의 언어
9. 언어와 예술
9.1. 도입
9.2. 언어의 객관화 기능
9.3. 예술개념의 이해
9.4. 언어와 예술의 비교
10. 동적 언어고찰의 연대기적 발전과정
10.1. 도입
10.2. 『베를린-학술원』강연까지의 언어관
10.3. 후기 작품에서 강조되는 동적 언어관
11. 언어학 발전과정에서의 훔볼트의 위치
11.1. 도입
11.2. 언어학의 역사주의와 비교 언어연구
11.3. 드 소쉬르의 언어개념과의 비교
훔볼트의 연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