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문 V

1 소통과 언어

1.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1
1.1 위대한 소통 2
1.2 소통의 정의 10
2. 의사소통의 모델 14
2.1 전달 모델 15
2.2 언어 연쇄 21
2.3 수렴 모델 26
2.4 구성주의 모델 35
3. 의사소통의 요소 39
3.1 송신자 41
3.2 수신자 53
3.3 메시지 65
3.4 채널 85
3.5 되먹임 89
3.6 잡음 91
3.7 세팅 94
참고문헌 99

2 대화의 원리

1. 소통의 두 얼굴 103
2. 대화와 협조 116
2.1 그라이스의 대화 원리 117
2.2 대화함축 129
2.3 격률 지못미 133
2.4 격률과 문화 143
2.5 언어적 협조와 사회적 협조 149
3. 적합성 이론 155
3.1. 적합성과 소통 155
3.2 의사소통의 목표 159
3.3 의도 161
4. 레빈슨의 함축 이론 171
4.1 의미의 층위 171
4.2 추론의 원리 175
4.3 추론의 상호작용 183
5. 하버마스의 언어 사용 이론 186
5.1 보편화용론 187
5.2 타당성 주장 192
5.3 사회적 행동 195
참고문헌 200

3 언어 행위와 소통

1. 행위로서의 말하기 205
1.1 언어 행위의 예 205
1.2 사회적 언어 행위 208
2. 언어 행위 213
2.1 언어 행위의 세 측면 213
2.2 발화수반력 표시 장치 218
2.3 언어 행위의 적정성 225
2.4 언어 행위의 유형 238
3. 사과 행위 265
3.1 사과의 정의 265
3.2 사과하기 270
3.3 사과 행위의 적정 조건 275
3.4 사과 행위의 실현 방법 279
3.5 문화적 측면 284
3.6 사과는 어려워 292
3.7 사과인 듯 사과 아닌 사과 같은 행위 302
4. 언어 행위 발화의 구조 308
4.1 주요부와 주변부 308
4.2 수식 310
5. 간접 언어 행위 327
5.1 언어 행위의 직접성 327
5.2. 간접 언어 행위의 종류 332
참고문헌 338

4 언어적 공손 현상

1. 언어적 공손 341
1.1 우리를 둘러싼 공손과 예의 341
1.2 동양적 공손과 예의 개념 344
1.3 서양적 공손과 예의 개념 348
2. 공손의 규칙과 원리 351
2.1 레이코프의 공손 규칙 351
2.2 리치의 공손 원리 355
2.3 브라운과 레빈슨의 공손 이론 383
3. 스펜서-오티의 조화관계 이론 405
3.1 체면 다시 보기 405
3.2 조화관계의 요인 407
3.3 조화관계 지향 412
3.4 비동의 행위와 조화관계 419

참고문헌 429

인명 찾아보기 433
주제어 찾아보기 438
표 목록 448
그림 목록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