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선비들은 어떤 정치를 원하였을까
1. 정치의 도리
1. 할미꽃의 충고 / 설총
2. 검은 것은 검다 하고 / 신흠
3. 올바른 다스림 / 안정복
4. 을사오적의 목을 베어야 / 최익현
2. 신하의 참된 소리
1. 참다운 신하 / 이곡
2. 신하의 목소리 / 이이
3. 충신론 / 김시습
4. 임금을 비판하는 신하 / 이익
3. 진정한 원님
1. 원님의 도리 / 이건창
2. 위정자의 참모습 / 정도전
3. 정말 큰 도적 / 정약용
4. 백성을 위하는 길
1. 백성의 세 모습 / 허균
2. 백성이 왜 못사는가 / 이익
3. 붕당이 생기는 까닭 / 이익
4. 붕당론 / 유성룡
5. 인재를 얻어야
1. 인재가 없다? / 허균
2. 차별없는 인재 등용 / 정약용
3. 과거제도를 고쳐야 / 박제가
4. 과거의 폐단 / 이익
6. 나라가 살 길
1. 돈을 주조하기를 청함 / 의천
2. 화폐의 사용이 과연 편리할까 / 정제두
3. 시장이 발달해야 / 박제가
[2장] 선비들은 어떤 삶을 생각했을까
1. 이규보의 지혜론
1. 빨리 가는 배 / 이규보
2. 집 고치기 / 이규보
3. 게으름을 쫓는 방법 / 이규보
4. 이상한 관상쟁이 / 이규보
2. 삶을 돌이켜 보기
1. 인생도 빌려온 것 / 이곡
2. 없어져야 할 시장들 / 이곡
3. 초가집의 미덕 / 이첨
4. 자연의 벗 여섯 / 이색
5. 치우치이 없는 삶 / 권근
6. 흑백론 / 홍우원
3. 사물을 보는 눈
1. 까마귀와 까치의 울음소리 / 홍준
2. 벙어리 물건 / 안정복
3. 쥐의 변명 / 태두남
4. 인삼 속의 독 / 유계
5. 굽거나 곧은 나무 / 장유
4. 인생론
1. 병에 걸리는 이유 / 오도일
2. 혹 떼려다 혹 붙인 사람 / 강항
3. 천 리 길을 가는 법 / 김정희
4. 사람다운 사람 / 이달충
5. 굳세고 강한 의지 / 정개청
6. 한 늙은이의 죽음 / 이건창
5. 여인의 삶
1. 조침문 / 유씨 부인
2. 규중칠우쟁론기 / 작자 미상
[3장] 선비들은 자연에서 무엇을 깨달았을까
1. 자연에서 배운 것
1. 나무 접붙이기 / 학백겸
2. 채소밭을 가꾸며 / 이곡
3. 아버지가 남긴 바둑알 / 이색
4. 작은 돌 산을 만든 뜻 / 허목
5. 정원에 만든 폭포 / 채수
6. 기러기 그림 / 임춘
2. 현상과 실제
1. 70리에 덮인 눈을 보고 / 이덕무
2. 하룻밤에 물을 아홉 번 건너다 / 박지원
3. 와룡폭포 / 채제공
3. 대나무의 선비정신
1. 대나무의 미덕 / 김매순
2. 대나무를 벗삼아 / 유방선
3. 대나무의 좋은 점 / 이인로
4. 자연의 즐거움
1. 네 가지의 즐거움 / 이규보
2. 시내 위에 걸친 평상 / 장현광
3. 운금루에 서 보니 / 이제현
4. 침류대의 경치 / 이수광
5. 소재동 사람들 / 정도전
5. 자연의 이치
1. 온천물이 뜨거운 까닭 / 서경덕
2. 달 때문에 밀물과 썰물이 / 정약용
3. 밀물과 썰물의 이치 / 한백겸
4. 태양이 뜨고 짐 / 이익
[4장] 선비들은 왜 노래하고 글을 썼을까
1. 책을 펴내며
1. 우리 신화의 가치 / 일연
2. 동명왕편을 지은 내력 / 이규보
3. 삼국사기를 지어 바치며 / 김부식
4. 내훈을 펴낸 까닭 / 소혜왕후
2. 우리 노래의 가치
1. 우리 향가를 한역한 이유 / 최행귀
2. 우리말 노래가 필요한 까닭 / 이황
3. 우리말로 된 노래의 가치 / 김만중
4. 청구영언을 엮은 일을 두고 / 정래교
3. 한시론
1. 도를 전하는 문장 / 서거정
2. 바른 문장 / 이이
3. 새로 시집을 엮은 까닭 / 이이
4. 시 짓기의 어려움 / 이항복
5. 두보의 시집을 번역하고 / 조위
4. 글짓기 논쟁
1. 나만의 글짓기 / 허균
2. 생각과 표현 / 박지원
3. 글짓기의 전략 / 박지원
4. 작문의 비결 / 이건창
5. 손님과의 논쟁 / 김매순
5. 고소설의 이해
1. 오륜전전을 번역하면서 / 낙서거사
2. 소설의 폐해 / 이덕무
3. 옥수기를 번역하고 / 남윤원
4. 제일기언 서문을 펴내며 / 홍희복
[5장] 선비들은 여행하며 무엇을 느꼈을까
1. 그리운 북녘 산하
1. 백두산 기행 / 박종
2. 금강산 기행 / 이곡
3. 송도 유람기 / 김창협
2. 동해를 바라보고
1. 경포대의 아름다움 / 안축
2. 동명일기 / 연안 김씨
3. 서울 근교의 산하
1. 한강을 거슬러 가며 / 이덕무
2. 북한산 기행 / 이덕무
3. 관악산 기행 / 채제공
4. 남녘의 산하
1. 청학동 / 이인로
2. 지리산을 다녀와서 / 이륙
3. 금골산에서 지낸 한 때 / 이주
4. 한라산 기행 / 최익현
5. 바다 건너 저편에
1. 표해기 / 최부
2. 인도 여행 / 혜초
[6장] 선비들은 역사와 전통을 어떻게 이해했을까
1. 역사
1. 고구려의 흥망론 / 정약용
2. 발해를 찾아서 / 유득공
3. 대마도에 유시하느 글 / 변계량
4. 해동제국기를 지어올리며 / 신죽주
5. 일본에 대해 논함 / 정약용
6. 산과 강의 줄기 / 이중환
2. 전통과 풍속
1. 경복궁의 유래 / 정도전
2. 옷 풍속의 변천 / 박지원
3. 갓의 폐단 / 이덕무
4. 조혼의 폐단 / 주시경
3. 유교ㆍ불교ㆍ도교
1. 금강과 삼매 / 원효
2. 부처는 곧 마음 / 지눌
3. 불교를 비판하면 / 정도전
4. 지옥 노쟁 / 이규경
5. 신선은 있는가? / 이이
6. 풍수설의 허구 / 정상기
4. 토속 신앙
1. 운명 다스리기 / 김시습
2. 뜻 밖에 오는 재앙 / 신흠
3. 관상에 대하여 / 정약용
5. 동학
1. 동학을 알리는 글 / 최제우
2. 사람이 곧 하늘 / 최시형
[7장] 선비들은 사랑과 우정을 어떻게 나누었을까
1. 우정과 형제애
1. 벗과의 사귐 / 이익
2. 진정한 벗의 사귐 / 박지원
3. 벗과 형제 / 이곡
4. 술 마시러 오시게 / 이규보
5. 형에게 올리는 글 / 허균
6. 힘든 벼슬살이가 부럽다구요? / 윤헌주
2. 부부 사랑
1. 여색의 이치 / 이규보
2. 부부의 도리 / 소혜왕후
3. 부부의 도리 / 정도전
4. 부인이 갖추어야 할 덕 / 이덕무
5. 산기가 있으면 즉시 알리소 / 곽주
6. 부인이 부디 평안해야 / 김정희
7. 아내 사랑이 최고 / 이수광
3. 효도와 자녀 사랑
1. 부모에게 효도하기 / 이이
2. 원숭이와 족제비의 자식 사랑 / 이덕무
3. 학업에 전념하거라 / 유성룡
4. 가족들 소식이 궁금하구나 / 이식
5. 병든 어버이 곁을 떠나서 / 안정복
6. 폐족의 처지를 잘 대처해야 / 정약용
4.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내며
1. 벗의 죽음을 슬퍼함 / 허균
2. 죽은 동생을 사모함 / 김창협
3. 죽은 동생을 찾기 위해 / 김택영
4. 사랑하는 딸을 보내며 / 김인후
5. 죽은 셋째딸을 보내며 / 김삼의당
6. 원이 아버지에게 / 이응태 부인
7. 죽은 아내를 그리워 하며 / 김정희
■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