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신념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그들의 유쾌한 결기를 읽는다

1부 틀을 깨다

1장_왕도정치를 꿈꾼 비운의 혁명가, 정도전
토지제도 개혁과 조선의 개창 | 표전문 사건과 요동 정벌 |
사병 혁파와 목전에서 좌절된 요동 수복

2장_칼을 찬 선비, 칼을 품은 선비, 조식
과거와 주자학의 굴레를 벗어던지다 | 온 나라를 흔든 단성현감 사직상소 |
문정왕후는 ‘궁중의 과부’일 뿐 | 나라의 명운을 쥔 것은 백성이다 |
학문의 산실 산천재로

3장_사대부에 맞서 주화론을 제기하다, 이경석
병자호란과 도망가는 인조 | 삼전도 비문의 찬술 | 세 가지 신조 |
북벌계획의 책임을 지다 | 송시열과의 시비

4장_북벌과 사회 개혁을 꿈꾼 비운의 정치가, 윤휴
주희와 배치되는 견해 | 송시열의 비판과 윤선거의 지지 | 예송 논쟁 |
삼번의 난과 북벌 | 호포법 주장과 좌절

5장_주자학 세상에 저항한 중농주의 실학자, 박세당
현종 호종 사건 | 석촌동에서 찾은 소박한 삶 |
아들 박태보에게 날아든 화 | 마지막 시련

6장_나는 양명학자로소이다, 정제두
‘친민’과 ‘신민’의 차이 | 양명학자임을 밝히다 |이단의 딱지 |

7장_발해사를 우리 역사로 인식하다, 유득공
불운한 유년 시절 | 정조, 서얼의 등용을 허하다 | 혁명적 역사 인식

8장_당파성을 배제한 역사서를 짓다, 이긍익
환란 속에 꾼 꿈 | 역사가가 되기로 마음먹다 | 다른 시각의 역사서 서술 |
《연려실기술》 편찬자를 둘러싼 의문

2부 죽음으로 맞서다

9장_사대의 나라에서 황제를 꿈꾸다, 이징옥
명나라 사신의 횡포 | 국경을 지키는 충신 | 수양대군을 토벌하라 |
대금을 세우고 황제에 올랐다?

10장_천하에 두려워할 바는 오직 백성이다, 허균
순탄치 못한 운명 | 왜 이이첨의 수하가 됐을까? | 인목대비 폐출 논의 |
정말 율도국을 세우려 했는가?

11장_폭정이 낳은 영웅, 홍경래
스승도 놀란 기질 | 혁명의 도모 | 거사 | 정주성에 갇히다 | 오지 않는 원병

12장_천주교를 지키다, 정하상
천주교를 버리지 않다 | 베이징을 오가며 신부 파견을 요청하다 |
다시 드리운 박해의 그림자 | 양심선언이자 신앙고백, ‘상재상서

13장_새로운 남조선을 열다, 김개남
농민혁명의 시작 | 다른 나라를 세우는 혁명을 꿈꾸다 | 북상 |
개남을 두려워한 사람들

3부 가난을 구제하다

14장_죽어서도 대동법을 외치다, 김육
백성을 구할 계책, 대동법 | 양반 지주들의 반대 | 100년 만에 전국에 시행되다

15장_혁명을 꿈꾸며 농사를 짓다, 이익
과거 공부에 뜻을 접고 ‘성호농장’으로 가다 | 최고의 정치란 무엇인가? |
노동의 가치를 아는 자가 정치해야 | 주자학을 뛰어넘어 서학도 수용

16장_사농공상은 다 일하라, 유수원
경종과 연잉군의 세제 책봉 | 경종독살설과 흔들리는 정국 |
백성 중에서 우수한 자를 선발하라 | 나주 벽서사건에 연루되다

17장_놀고먹는 자들은 나라의 좀이다, 박제가
백탑파 친구들 | 규장각 사검서의 탄생 | 무과로 다시 벼슬길에 나가다 |
정조 사후에 유배당하다

4부 절개를 지키다

18장_통곡하며 책을 불태운 천재, 김시습
승려가 되다 | 《금오신화》를 쓰다 | 사대부의 상식 주리론을 거부하다

19장_흔들리지 않는 사관의 길, 김일손
사관이 비사를 아는 연유 | ‘조의제문’의 해석 | 서른넷에 능지처사 되다 |
흐린 물에 갓끈을 씻으려 한 대가

20장_광해군에 대한 의리를 지키다, 유몽인
임진왜란의 충격 | 광해군 즉위 도우며 승승장구 | 시어 파문 |
금강산으로 들어가다 | 신하로서 임금을 내쫓을 순 없는 법

21장_정말 오랑캐에게 투항했을까?, 강홍립
싸움터로 나서다 | 투항 | 8년의 억류생활 | 고국에 돌아오자 병에 걸리다

22장_유배 속에 살다, 이광사
당쟁의 소용돌이 | 위기에 빠지다 | 유배, 유배, 유배 | 신기 어린 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