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1강 보기에 좋은 글이 읽기도 좋다 : 행갈이와 들여쓰기
베껴 쓰기 1 ▶ 심산, 《심산의 마운틴 오딧세이》 중에서
2강 글을 살아있는 생물로 대하라 : 글쓰기의 형식
베껴 쓰기 2 ▶ 이철환, 《반성문》 중에서
3강 작가들도 다른 작가의 글을 베껴 썼다 : 베껴 쓰기로 연습하기
베껴 쓰기 3 ▶ 한비야,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중에서
4강 우리는 왜 쓰려 하는가 : 글쓰기의 좋은 점
베껴 쓰기 4 ▶ 정혜윤,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 중에서
5강 무엇을 쓸지보다 어떻게 쓸지를 생각하라 : 글쓰기의 소재
베껴 쓰기 5 ▶ 박종호, 《황홀한 여행》 중에서
6강 쉽게 쓰는 게 정답이다 : 글을 쉽게 쓰는 법
베껴 쓰기 6 ▶ 이만교, 《글쓰기 공작소》 중에서
7강 조사 사용에 주의하라 : 우리말의 특징 (1)
베껴 쓰기 7 ▶ 장영희,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중에서
8강 어미를 잘 써라 : 우리말의 특징 (2)
베껴 쓰기 8 ▶ 김탁환, 《천년 습작》 중에서
9강 생략된 표현에 주의하라 : 우리말의 특징 (3)
베껴 쓰기 9 ▶ 휘민, 《생일 꽃바구니》 중에서
10강 우리말은 이심전심으로 소통한다 : 우리말의 특징 (4)
베껴 쓰기 10 ▶ 전우용, 《서울은 깊다》 중에서
11강 잘난 척하는 마음을 버려라 : 글을 쓰는 자세
베껴 쓰기 11 ▶ 도종환, 《그대 언제 이 숲에 오시렵니까》 중에서
12강 문장을 길게 쓰지 말고 잘라 써라 : 다.다.다. 사랑하기
베껴 쓰기 12 ▶ 조중걸, 《나의 학생들에게》 중에서
13강 그리고 그런데 그래서? 어쩌라고 : 불필요한 접속부사 빼기
베껴 쓰기 13 ▶ 원재훈, 《오늘만은》 중에서
14강 새로 나온 샴페인과 진짜 콜라 꾸: 미는 말과 꾸밈 받는 말
베껴 쓰기 14 ▶ 명로진, 〈젊음과 늙음〉
15강 주어와 술어를 어울리게 써라 : 주어-술어 호응
베껴 쓰기 15 ▶ 허수경, 《길모퉁이의 중국식당》 중에서
16강 소리 내 읽으며 어색한 문장을 찾아라 : 비문 고치는 법
베껴 쓰기 16 ▶ 김연수, 《여행할 권리》 중에서
17강 한 번에 하나씩 써라 : 좋은 구성이란
베껴 쓰기 17 ▶ 박범신, 《남자들 쓸쓸하다》 중에서
18강 단순하면 단순할수록 좋다 : 멋 부리지 않는 글쓰기
베껴 쓰기 18 ▶김어준, 《건투를 빈다》 중에서
19강 다이어트 글쓰기 : 글 고치는 법
베껴 쓰기 19 ▶ 정이현, 《풍선》 중에서
20강 독자의 입장이 되라 : 글을 분명하게 쓰는 법
베껴 쓰기 20 ▶ 신영복, 《강의》 중에서
21강 독자의 이해를 구하지 마라 : 여지를 남기는 글
베껴 쓰기 21 ▶ 공지영, 《수도원 기행》 중에서
22강 글은 이어진 사슬이다 : 긴장감 있는 글
베껴 쓰기 22 ▶ 조연호, 《행복한 난청》 중에서
23강 글을 쓰려면 탄탄한 플롯을 짜야 한다 : 글의 시작과 중간과 끝
베껴 쓰기 23 ▶ 남경태, 《개념어 사전》 중에서
24강 흥미롭게 시작해야 독자를 유혹할 수 있다 : 도입부 쓰는 법
베껴 쓰기 24 ▶ 황학주, 《당신, 이라는 여행》 중에서
25강 화려한 볼거리가 있어야 한다 : 중간 구성 문제
베껴 쓰기 25 ▶ 성석제, 《재미나는 인생》 중에서
26강 끝을 위한 비장의 무기를 마련하라 : 글의 결말
베껴 쓰기 26 ▶ 정여울, 《미디어 아라크네》 중에서
27강 틀린 부분이 없는지 사전을 찾아라 : 고치고 다듬기
베껴 쓰기 27 ▶ 윤광준, 《윤광준의 생활명품》 중에서
28강 책이 내 것이라야 책속 내용도 내 것이 된다 : 글쓰기를 위한 책 읽기
베껴 쓰기 28 ▶ 홍세화, 《거꾸로 생각해 봐! 세상이 많이 달라 보일 걸》 중에서
29강 기록이 모이면 한 권의 책이 된다 : 메모의 힘
베껴 쓰기 29 ▶ 서명숙, 《놀멍 쉬멍 걸으멍 제주 걷기 여행》 중에서
30강 술 취해서 썼냐? : 반복의 위험
베껴 쓰기 30 ▶ 임선경, 《연애 과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