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상대시가의 제양상
1. 고조선의 시가
2. 고구려의 시가
3. 백제의 시가
4. 신라의 시가
5. 가야의 시가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에 나타난 광부 처의 행동
1. 서론
2. 두 계열의 배경설화와 「기량처가」의 배경설화
3. 「공무도하가」 배경설화의 이해와 주변문제
4. 결론

「황조가」 해석의 다양성과 가능성 - 『삼국사기』와 『시경』의 글자용례를 통해
1. 서론
2. 해석의 다양성-『삼국사기』에 나타난 ‘嘗’과 ‘歌’의 용례
3. 『삼국사기』와 『시경』에 나타난 「황조가」의 글자용례
4. 해석의 가능성
5. 결론

「구지가」의 수록경위와 해석의 문제
1. 머리말
2. 「구지가」의 수록경위
3. 「구지가」 해석의 관건
4. 맺음말

가사부전의 「도솔가」를 이해하는 한 방법 - 『삼국사기』 글자용례에 기대
1. 논의의 출발
2. ‘製’와 ‘歌樂’의 용례, 그리고 「도솔가」
3. 결론

* 보론 1. ‘사뇌(詞腦)’의 정체

* 보론 2. 향가론의 전개와 과제-향가작가 문제를 중심으로
1. 문제의 범위
2. 향가해독의 전개와 향가작가에 대한 異論
3. 향가론의 과제

제2부
신라시대 참요(서)를 이해하는 한 방법-형혹의 설을 중심으로
1. 논의의 시작
2. 참요(서) 이해의 한 방법 -지연모방, 놀이, 운율적 경향
3. 신라시대의 참요(서)
4. 결론

고려시대 참요에 대하여-예언성 획득과정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참요의 일반적 성격
3. 고려시대의 참요와 예언성
4. 맺음말

조선시대 참요 연구-생성과정과 관련된 주변문제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참요의 일반적 성격
3. 참요의 생성과정과 관련된 주변문제
4. 조선시대의 참요
5. 맺음말

동요를 통해 본 『삼국지』 한국어 판본
1. 머리말
2. 『삼국지』 각 판본의 동요들
3. 마무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