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오감도의 연구사
(3) 오감도의 접근방법
Ⅱ. 오감도의 구조
1. 기본구조
(1) 반복구조
(2) 분리구조
(3) 통일구조
2. 구조의 상관성
(1) 대립적 관계
가. 확대와 수축
나. 상승과 하향
다. 聖과 俗
라. 彼岸과 일상
(2) 결합적 관계
가. 음양의 결합
나. 생성적 결합
다. 불균형적 결합
라. 종합적 결합
가. 무서움을 퇴행시키는 兒孩
나. 통과의례의 兒孩
다. 집단의 무서운 힘
라. 뚫린 골목을 만드는 兒孩
(2) 아버지
가. 영원한 삶에 대한 자각 의식
나. 삶의 무한한 연결
다. 시대를 초월한 인간애
라. 신적 존재
(3) 싸움하지 않는 사람
가. 싸움에서 이긴 사람
나. 지상에 영원히 살아 있는 사람
다. 聖스러운 세계
라. 가을의 신화
(4) 책임의사
가. 책임의사의 처방
나. 지속성
다. 마음의 중심을 잡아주는 책임의사
라. 醫術의 영역
2. 일상적 상징
(1) 落傷한 我·
가. 신의 안전에 낙상
나. 흔적을 위한 노력
다. 我가 숨는 곳
라. 순환성을 거부하는 我
(2) 앵무
가. 아알지 못하는 관계
나. 거꾸로 된 추방대상
다. 부끄러워하는 사이
라. 역전의 가을이미지
(3) 顯花
가. 一封家神과 庶載의 관계
나. 一枝식수
다. 一回的인간
라. 부패한 여름
(4) 시험담임인
가. 수술의 반복
나. 一軸철필과 一張백지
다. 해부의 진행
라. 익일
3. 회복적 상징
(1) 나
가. 자아의 회복
나. 존재의 顯現
다. 큼직한 손
라. 봄의 이미지
(2) 이슬과 홍수와 흰비둘기
가. 나의 소유
나. 재생
① 죽어가는 과정에서 회복
② 홍수
③ 생명의 씨앗
다. 부활정신
① 의지
② 지속
③ 완성
라. 나비, 홍수, 하늘과 계절의 순환
(3) 내 팔과 모자
가. 자신에 대한 애착
① 기림
② 기절한 나
나. 역사의 재생
① 기적적 재생
② 혈연 지속의 재생
다. 당기는 힘의 관계
① 위협당하고 위협하는 관계
② 순리의 힘에 대한 역설
라. 낙엽지는 가을 나무의 상징
① 씨앗과 낙엽의 관계
② 나무와 낙엽의 관계
(4) 꿈
가. 일심동체
나. 지속성
다. 불사조의 심장
라. 겨울의 신화
Ⅳ. 결론
* 참고문헌
* 영문요약
Ⅲ. 오감도의 신화적 상징
1. 초월적 상징
(1) 兒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