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1강
문학의 정의
1. 동양:''논어論語'' 선진先進 편
2. 서구:literture
3. <문학>의 현대적 정의
4. 고전''古典, great book''의 의미
문학의 기원-1
1. 역사적 조망
2. 유희본능설
3. 흡인본능설
4. 표현본능설
5. 사회학적 기원설

제2-1강
문학의 기원-2
1. 모방본능설
2. Platon(Plato)의 모방론
3. 시인추방론
4. Aristoteles(Aristotle)의 모방론
문학의 장르(genre)
1. 일반논의
2. 문학적 제도
3. 문학 장르의 종(種) 개념=일반적인 장르
4. 문학 장르의 속(屬) 개념=나라마다의 장르

제2-2강
문학의 기능-1
1. 문학기능의 일반적 개념
2. 문학의 쾌락적(快樂的) 기능
3. 문학의 교시적(敎示的) 기능

제3-1강
문학의 기능-2
1. 문학기능의 포괄적 관점
시(詩)
1. 일반적인 안내

제3-2강
시의 정의
1. 시의 정의
2. 시와 산문의 구별- 폴 발레리(Paul Valery)
시의 기원
시의 요소-1
1. 시의 언어

제4-1강
시의 요소-2
1. 언어의 두 가지 사용법과 시어
2. 시어의 애매성

제4-2강
시의 요소-3-운율
1. 운율의 개념
2. 운율의 종류
3. 한시(漢詩) 감상

제5-1강
시의 요소-4-이미지
1. 이미지의 개념
2. 이미지의 유형
시의 요소-6-상징
1. 상징

제6-1강
시의 요소-6-반어〔反語, irony〕
1. 반어의 개념
2. 시에서의 반어
시의 요소-7-역설〔逆說, paradox〕
1. 역설의 개념
2. 반어와 역설
3. 시에서의 역설

제6-2강
시의 요소-8-언어유희〔言語遊戱, pun〕
1. 언어유희의 개념
2. 시에서의 역설
? 시의 요소-9-시적화자〔詩的話者, persona〕
1, 시적화자의 개념
시의 분류-1
1. 고전적 분류

제7-1강
시의 분류-2
1. 형태적 분류
2. 자유시와 산문시(散文詩)
3. 기타의 분류들

제7-2장
한국의 시-1
1. 시(詩)와 시가(詩歌)
2. 고대 시가
한국의 시-2-고려가요
한국의 시-3-악장(樂章)

제8-1강
한국의 시-4-시조(時調)
1. 평시조 내용의 주류(主流)
한국의 시-5-가사(歌辭)

제8-2강
한국의 시-6-개화기 시가
한국의 시-7-근, 현대시
1. 1920년대 시
2. 1930년대 시
3. 1940년대 시

제9-1강
한국의 시-7-근, 현대시
1. 1950년대 시
2. 1960년대 시
3. 1970년대 시
4. 1980년대 시
5. 1980년대 시 한 편 감상

제9-2강
소설-1
1. 개념
2. 기원

제10-1강
소설-1
3. 특징
소설-2-발전과 전개과정-1
1. 초기의 이야기 형식
2. 근대적 사실주의의 개화

제10-2강
소설-2-발전과 전개과정-2
1. 소설의 황금시대
2. 러시아 소설
3. 현대소설의 방향
소설-3-기본요소-1

제11-1강
소설-3-기본요소-2
1. 가장 일반적인 플롯의 전개과정
소설-3-기본요소-3

제11-2강
소설-3-기본요소-4
소설-3-기본요소-5

제12-1강
소설-3-기본요소-6

제12-2강
소설의 분류

제13-1강
한국의 소설-개념정리
한국의 소설-1-고대소설
1. 소설의 전단계(前段階)
2. 전기소설(傳奇小說)
3. 의인소설(擬人小說)
4. 몽유록계 소설
5. 풍자소설
6. 군담소설(軍談小說)=영웅소설
7. 가정소설
8. 판소리계 소설

제13-2강
한국의 소설-2-개화기 소설(신소설)
한국의 소설-3-근대 및 현대소설
1. 1910년대 소설
2. 1920년대 소설
3. 1930년대 소설

제14-1강
한국의 소설-3
1. 1940년대 소설
2. 1950년대 소설
3. 1960년대 소설
4. 1970년대 소설
5. 1980년대 소설

제14-2강
수필(隨筆)
1. 수필의 개념
2. 수필의 특성
3. 수필의 분류

희곡(戱曲)
1. 희곡의 개념
2. 희곡의 본질
3. 희곡과 시나리오
4. 희곡의 특성
5. 구성의 특성과 그 단계

참고문헌
부록
문학의 사조
1. 고대 서구문학 흐름
2. 중세 서구문학 흐름
3. 르네상스 시기의 서구문학
4. 고전주의
5. 낭만주의
6. 사실주의
7. 자연주의
8. 상징주의
9. 모더니즘
10. 포스트모더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