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부 박태원 소설, 이렇게 읽는다

1> 소설가 소설과 ‘구보형 소설’의 계보
-박태원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소설가 소설-
1. 소설가 소설로서의 ‘구보형 소설’
2. ‘구보(仇甫)’와 ‘구보(丘甫)’ 또 ‘구보’
3. 고현학과 리얼리티, 그 시공간성
4. 다시 ‘소설쓰기’로
참고문헌

2> 병든 몸으로 세상을 담는다
-세계와 대응하는 인물의 몸-
1. 세계와 ‘몸’의 대응
2. 주체와 병든 몸의 자아정체성
3. 병든 몸에서 병든 공간으로의 확산
4. 병든 세상에서 사는 방법, 소설 쓰기와 치유
참고문헌

3> 소설을 쓰려면 이렇게 써야 한다
-창작방법론 고현학과 모더니즘론-
1. 박태원은 1930년대 모더니즘의 기수인가?
2. 박태원식 리얼리즘, 고현학
3. 타고난 기교주의 소설가
4. 박태원식 소설 쓰기
참고문헌

4> 교과서에 실린 박태원 소설 읽기
-우리 교과서는 박태원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
1. 문학사의 “박○○”과 88년 해금
2.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3. 교과서에 수록된 「천변풍경」
4. 우리 당대의 박태원, 수용과 변화
참고문헌

2부 박태원 소설, 보다 깊이 읽기
-기호학적 의미구조론-

1. 들어가며
2. 기호학적 의미구조론
2-1. 기호학의 성립과 전개 양상
2-2. 기호-기호현상과 의미작용

3.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小說家 仇甫氏의 一日)」의 기호학적 의미구조
3-1. 소설텍스트의 표현적 특성과 의미구조
3-2. 소설 텍스트의 재약호화 구조
3-3. 이야기의 의미론적 구조

4. 박태원 소설의 기호학적 의미구조 양상
4-1. 소설 텍스트의 도상적 성격
4-2. 텍스트 공간화의 서사적 논리
4-3. 역설의 의미론적 대립구조
5. 나가며
참고문헌

[부록]
1> 박태원 연보
2> 박태원 작품 연보
3> 박태원에 대한 평론 연표(1929-1941)
4> 박태원에 대한 연구 논저 목록

[색인]
1> 작품 색인
2> 인명 색인
3> 용어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