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머리에 …4

1부. 고전의 정의와 고전 해석
고전의 ‘국민화’―‘고전’은 어떻게 국민어와 국민문화 속에서 창출되었는가?∥이연숙 …16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고전과 고전해석∥김정현 …38
고전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플라톤의 햐르미데스에 나오는 ‘인식의 인식’의 예∥주광순 …64
경전에서 고전으로―불교 문헌의 현대와의 대화∥김종인 …88

2부. 고전 번역과 문화 번역
번역으로서의 동아시아∥이동철 …114
언어 번역에서 문화 번역으로―폴 리쾨르 번역론 연구를 통한 상호문화성 성찰∥김정현 …140
20세기 초 한국 불교 개혁론에서 불경의 한글 역에 대한 인식∥김종인 …172
최남선의 신대한(新大韓) 기획과 ''로빈슨 크루소''∥김남이?하상복 …206

3부. 고전(정전)의 정치ㆍ사회적 역학관계
『서포만필』의 민족어 문학론 비판∥강명관 …238
‘연암(燕巖)’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1)∥김남이 …256
근대중국의 ‘新文學’ 형성과 정전화 과정∥김소정 …276
윤동주 시의 정전화와 민족주의 지평 넘기∥허정 …300
언어 자료의 정전화와 아카데미 프랑세즈 사전∥이은령 …336

필자소개 및 원고출처∥364
찾아보기∥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