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설

[상권]
소화시평 서문 1|소화시평 서문 2|소화시평 서문 3|소화시평 서문 4
고려 태조 시의 기상|고려 문종의 꿈|고려 현종의 기상|고려 충숙왕의 백상루 시|조선 태조의 백악 시|문종의 귤시|성종의 평양군 비문 시|인종의 춘첩자|선조의 납매 시|인조의 연구|효종의 만주 정벌 시|단종의 영월 시|광해군의 제주도 이배|종실 시인|귀유 시인|최치원의 강남녀|최치원의 작품 세 편|최치원과 박인량|최승로의 새|김부식의 시풍|김부식과 정지상의 경쟁|고조기 시의 정경|귀신의 작품|정지상의 요체시|임춘의 비분|번안법|이인로의 명작|시인의 궁달|이규보의 대가다움|이규보의 칠언절구|이규보와 진정|진화 형제의 시|김지대의 유가사|곽예의 시|홍간의 당시풍|홍간의 기러기|이진과 양경우|이제현의 사 작품|이제현과 이숭인|이곡의 풍자시|김제안의 시|이색의 재치|고려의 12대가와 목은|정몽주의 일본 사행시|정몽주의 남경 사행시|정몽주와 이안눌의 우열|이숭인의 오호도|고려의 빼어난 연구|고려와 조선 시의 우열|정도전의 오호도|정도전의 시|권근의 금강산|권우의 가을날|강회백 삼대|이첨의 시|유방선의 시|성간의 시|사육신의 충절|신숙주 삼대|서거정의 동몽시|서거정의 표절|김종직의 시|김시습의 무제|시의 장난기|홍유손의 시|정희량의 시경|정광필의 시|강혼과 김류|박은의 영보정|남곤의 신광사|이행의 시|이희보의 시|박상의 시|조광조의 절명시|김정의 소나무 시|김안로의 시|화찰과 소세양의 압록강|시어의 신중한 수정|신광한의 옥원역|신광한과 유영길의 산수시|정사룡의 즉흥시|신령이 도운 시|칠언시의 놀라운 구절 모음|정렴의 시|홍섬의 시참|주세붕의 시|이황의 시|이황의 선비화 시|정유길의 시|시와 지명|권벽의 시|권벽과 권필 부자|양사언의 시|시의 경물묘사|이이의 시|고경명의 흉금|정사룡과 고경명의 우열|정철의 절창|시와 도|송익필의 시|송한필과 권벽의 낙화|대가 황정욱|유영길의 경구|정작과 선조임금|신응시의 두견새|최경창의 시|최경창의 시풍|백광훈의 시|이달의 시재|광한루 시회

[하권]
역대의 우수한 오언 시구|역대의 우수한 칠언 시구|풍자시 명작 오언절구|풍자시 명작 칠언절구|이산해의 시|이산해의 왕소군|천재시인 허봉|허봉의 시재|윤두수 시의 결함|유성룡의 시|조휘의 경구|이덕형의 영사시|이항복의 국량|유근의 시|심희수의 시|이제신 시의 기상|선연동|최립 시의 기이함|최립의 일출|최립의 연구|이규보와 차천로|차천로와 권필|웅화와 이정귀|이춘영의 오기|이호민의 시|이산해의 감식안|홍이상의 시|홍난상의 시|신흠의 시|정지승과 이수광|이수광의 명구|홍경신의 시|시와 표절|이춘영의 영보정|권필의 불우함|권필의 천재성|구용의 시|임전의 시|허씨 가문|허난설헌의 노래|허균 시의 평가|허균의 시|조위한과 김정의 총석정|차운로의 시|이경전의 동몽시|유몽인의 시|유몽인의 좀벌레 시|유몽인 과부의 노래|시참|양경우와 이안눌|양경우와 이안눌의 우열|이안눌의 시|이안눌의 재능|이안눌과 권필|김류의 시|이안눌과 허적|홍서봉의 필력|홍서봉과 이식|박엽의 시|조희일의 도망시|스님에게 준 시|조찬한의 시|장유의 시|대가의 경구|이식의 시|권겹을 애도한 이식의 시|백로주 시|구봉서의 시|홍보의 한벽당|김육의 시|이민구의 시|관어대 시|조선 중기의 대시인|윤순지의 시|정두경의 기운|정두경의 격조|정두경의 시|박정길의 만시|이계의 시재|신최의 시|홍주세의 시|통신사의 시|임유후의 시|김득신의 시풍|홍석기의 시재|홍석기의 시|김득신과 홍석기|이지천의 궤벽함|조한영의 시|김석주와 홍만종|윤정의 시|이원진의 시|작자미상의 이항복 만시|무명씨의 시|한 연만 전해지는 시구|승려 시인|여항시인|부녀 시인|기녀 시인|도사 전우치|귀신 시인|요절 시인

[부록]
소화시평 후발|소화시평 후서|시평치윤 서

[원문]
소화시평 상권|소화시편 하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