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경복궁에 표현된 조선 초기의 국정운영체계|박진훈
들어가는 말
강녕전(康寧殿) 건강한 신체와 올바른 마음, 통치의 시작
사정전(思政殿) 신중하고 올바른 정책의 구상
근정전(勤政殿) 최선을 다한 정책의 실현과 행정의 집행
홍례문(弘禮門)과 광화문(光化門) 업적의 실현과 확대
경회루(慶會樓) 업적의 확인과 소통의 확대
동궁전(東宮殿) 후계자의 양성과 업적의 발전적 계승
나오는 말
2장 조선의 중앙집권제와 6조행정체제|임용한
절대주의와 조선의 중앙집권제의 차이
고려의 6부는 조선과 무엇이 다른가
6조 행정체제에 대한 조선의 문제의식
6조 중심의 행정체제와 속사, 속아문 제도의 정비
3장 백성을 하늘처럼 섬긴 다산 정약용의 삶과 사상|김용흠
21세기에 웬 다산?
다산 정약용은 누구인가?
주자학에서 실학으로
정조와 다산 정약용
다산의 저술:6경 4서와 1표 2서
?목민심서?의 구조와 내용
다산이 전하는 메시지
2부 중앙행정과 관련된 여러 모습들
4장 조선시대 관직의 꽃, ‘청요직’ 이야기|송웅섭
알 듯 모를 듯한 용어, 청요직!
관직의 꽃, 청요직!
범상치 않은 청요직의 위상
청요직 중심의 권력구조 개편
청요직 중심 관료제 운영의 폐단과 청요직 망국론의 등장
탕평군주의 견제와 청요직의 영향력 약화
남은 이야기들
5장 신문고를 통해서 본 조선 초기의 행정|김백철
신문고는 한낱 상징적 조치에 불과한가?
노비소송(奴婢訴訟)의 폭증
사법개혁의 재조명
사법체계에 미친 영향
맺음말
6장 조선시대 승정원 승지의 직무 수행 체계|이근호
머리말
6승지 체제의 성립과 승지의 분방(分房)
6승지의 대방(代房)과 환방(換房)
내부 규정으로 본 승지의 복무 실태
맺음말
7장 사화는 왜 일어났는가? 삼사의 등장과 중앙 행정체제의 변화|김범
사화를 이해하는 시각
무오사화 사초를 매개로 삼사에게 경고한 조선 최초의 사화
갑자사화 폭정과 황음에 빠진 국왕이 자행한 거대한 폭력
기묘사화 급진적 개혁의 급격한 좌절
맺음말 삼사의 등장과 중앙 행정체제의 변화
3부 지방행정 운영에 관한 몇 가지 이야기
8장 고려의 지역세력가와 지방행정의 실제|김인호
현종의 위기
고려왕조의 태생적 문제와 지방
지방통치를 위한 연결고리:사심관과 기인
지방 행정 관료의 파견
지역행정의 실제
9장 조선 후기 지방행정의 실제 행정으로 본 춘향전|노혜경
들어가는 말
이몽룡과 암행어사 파견
‘봉고파직’은 암행어사 권한의 남용이다
변학도의 진실
맺음말
10장 조선의 수령들이 읽은 목민서 15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기까지의 유통본|정호훈
조선의 군현제 운영과 목민서
15세기, 목민서의 유통이 시작되다
목민서, 조선의 현실을 담아내며 새롭게 만들어지다
18세기, 목민서의 시기
목민서의 지평, ‘목민학’ 혹은 ‘수령학’의 인식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