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 담바고를 말하다

1부 담배의 도래
1. 이름의 기원: 담바고, 그 연기의 이름
깊이 읽기 1. 담배를 한 글자로 만든다면
2. 담배의 유입: 신세계 향초의 도래
3. 중국으로 전파: 황제도 못 말린 청나라 군대의 망우초 사랑
깊이 읽기 2. 담배의 전설
4. 고급 담배 지사미: 지사미 전성시대

2부 원하고 원망하다
5. 말세의 취미: 술과 차를 뛰어넘는 기호품 세계의 새 왕좌
6. 애연가의 계보: 골초의 탄생
깊이 읽기 3. 용고뚜리, 철록어미
7. 금연론자의 계보: 금연을 실천한 명사들
8. 흡연의 이유: 아는 사람만 아는 담바고 ‘땡기는’ 순간
깊이 읽기 4. 담배를 잊지 못하는 곳 그 어딘가?
9. 남령초 책문: 애연가 정조의 흡연 권장

3부 명품과 취향
10. 조선의 명품: 테루아르의 맛 ‘진삼미’
11. 담뱃대 미학: 장죽의 품격, 곰방대의 다정함
12. 흡연도구와 공예예술: 궁극의 사치
13. 의학적 효용: 약초, 독초, 혹은 취미의 문제
깊이 읽기 5. 담배 먹고 자결하다
14. 코담배: 가루를 마시고 재채기를 하다

4부 담배와 모럴
15. 흡연논쟁: 담배는 불온하다
16. 미풍양속의 파괴자: 이성을 유혹하고 부모를 멀리하게 하는 요물
17. 이덕무의 흡연 예절: ‘식후 땡’에도 예의가 있어야지
깊이 읽기 6. 이옥과 이규경의 흡연 에티켓
18. 흡연 규범의 확립: ‘맞담배’와 교내 흡연을 불허하노라
19. 여성과 아동의 흡연: 장죽 문 아이, 부뚜막에 걸터앉은 계집종
20. 기생의 흡연: 기생의 손에는 왜 항상 담뱃대가 들려 있나

5부 담배와 경제
21. 17세기의 국제 담배 무역: 수지맞는 거래, 은밀한 협상
22. 동아시아 3국의 담배 교류: 조선의 일본 담배, 중국의 조선 담배
23. 생산과 판매: 곤궁한 선비가 끼니를 잇는 법
24. 거래와 유통: 담배 가게 아저씨는 부자라네
25. 담뱃값과 전매제: 출렁이는 담뱃값과 담배에 세금 매기기

6부 예술 속 담배
26. 춘향전과 담배 문학: 춘향이 옥수로 담배를 권하노니
27. 담배의 한평생: 가전 「남령전」의 세계
28. 끽연시와 노래: 오직 ‘너’뿐인 담배를 노래하다
29. 담배와 회화: 그림 속 담배
깊이 읽기 7.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

7부 구한말 흡연 문화의 격변
30. 위정척사파의 금연운동: 나라를 위해 담배를 끊다
31. 전통 흡연 문화의 소멸: 장죽의 슬픈 운명, 침투된 평등으로서의 권연

맺음말_ 담배 문화 연구가 이옥과 그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