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_9
2. 기존 연구_14
3. 문제제기와 연구방법_16
4. 古今韻會擧要의 聲母와 四聲通解 내 한글 표기_18
5. 古今韻會擧要의 字母韻_19
6. 洪武正韻譯訓 및 四聲通解 韻들의 개요_26
7. 연구결과_27
7.1. 개요_27
7.2. 古今韻會擧要의 字母韻과 四聲通解에서의 대응_32
7.2.1. 도표에 대한 설명_32
7.2.2. 종성 “ng”(ŋ)을 가진 字母韻_35
7.2.3. 종성이 없는 字母韻 (平聲, 上聲, 去聲)_76
7.2.4. 종성 “n”을 가진 字母韻_138
7.2.5. 종성 “mh”를 가진 字母韻_184
7.2.6. 종성 “m”을 가진 字母韻_210
7.2.7. 入聲에 포함된 字母韻_229
7.2.8. 결과_270

부록 1. 四聲通解의 韻會音과 蒙韻音의 차이_277
1.개요_277
2.禮部韻略七音三十六母通攷에만 등장하는 况 字母韻_278
3.중성자 “ ᅺ“와 관련된 차이점과 雄/頃 字母韻에서 나타나는 차이점_280

부록 2. 파스파문자로 된 蒙古字韻의 字母韻과 한글로 된 古今韻會擧要의 字母韻 대조_284

국문요약_293
Summary_295
자료_297
참고문헌_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