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서론

제2부 본론
1. 고저장단의 개요
(1) 사성(四聲)이란 무엇인가?
(2) 사성(四聲)과 평측(平仄)
(3) 평측(平仄)과 고저
(4) 고조(高調)와 저조(低調)
(5) 측고조(仄高調)란 무엇인가?
(6) 평고조(平高調)란 무엇인가?
2. 평고조(平高調)의 실제
(1) 생활어에 실현되는 평고조(平高調) 현상
(2) 평고조(平高調)의 변별
(3) 평고조(平高調)와 다른 성조(聲調)와의 대비
3. 평고조(平高調)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이유
(1) 평고조(平高調)가 되는 그 심리적 동기
(2) 평고조(平高調)의 음성학적 소견
(3) 평측(平仄)의 역추리
4. 평성단음절어(平聲單音節語)의 고조(高調) 현상
5. 고저와 장단의 유기적 상호관계
6. 우리말의 성조(聲調) 체계
(1) 성조(聲調)의 분류
7. 측고조(仄高調)의 여러 형태
(1) ‘仄仄’형
(2) ‘仄平’형
8. 다음절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 3음절어
(2) 4음절어
9. 고유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0. 우리말의 평측성성(平仄聲性)
(1) 평측성성(平仄聲性)의 성전환
(2) 체언과 조사 간의 성조(聲調) 대응
(3) 체언과 조사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4) 복합어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5) 용언과 어미 간의 성조(聲調) 대응
(6) 용언과 어미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7) 2음절 이상의 용언과 어미 간의 대응
(8) 수식사(修飾詞 ; 부사·관형사)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11. 한자어의 활용
(1) 한자어의 용언화 조건
12. 고저장단의 현황
(1) 고저의 체계 변이
(2) 장단의 체계 변이
13. 성조단위(聲調單位)와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 성조단위(聲調單位)
(2)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4. 고저장단의 이모저모
(1) 전통적 성조(聲調)에 벗어난 현관용어
(2) 평측(平仄) 구조가 같아 어의 구별이 안 되는 말들
15. 언어의 성조(聲調) 질서
(1) 사성(四聲)과 고저장단
(2) 말소리의 입체성
(3) 언어 질서의 자생력
16. 성조(聲調)의 고금
(1) 우리말 성조(聲調)의 연원
(2) 표준어와 방언의 성조(聲調)
(3) 한시문의 독송에서 다져진 평측(平仄)
17. 고저는 소멸한 것이 아니다
(1) 고저가 소멸했다는 논리의 부당성
(2) 평고조(平高調)가 약화된 원인
18. 장단에 대하여
(1) 고저를 배제한 장단의 부실성(不實性)
(2) 장단의 몇 가지 문제점
(3) 장단음(長短音) 발음의 불명확성
(4) 제2음절 장음의 단음화
(5) 사전상 장단 표시의 불일치성

제3부 결론
(1) 고저장단의 기준
(2) 평측(平仄)과 고저의 관계
(3) 우리말의 성(性)
(4) 연접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새 질서
(5)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의 원리
(6) 고저장단의 사전 표시 시안

제4부 별론
1. 중국 한자음 사성(四聲)과 우리 어음(語音)의 사성(四聲)
(1) 한자음과 귀화한자음(歸化漢字音)
(2) 중국 사성(四聲)과 고유어 사성(四聲)
2.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
(1) 훈민정음에서의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2) 최세진(崔世珍)이 본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3)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에 대한 여러 논거
(4)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와 상거상혼(上去相混)
3. 거성(去聲)의 정체
(1) 거성(去聲)의 음장(音長)
(2) 거성(去聲)의 발생 기서(機緖)
(3) 평단음(平短音)과 측단음(仄短音)
(4) 거성(去聲)·입성(入聲)의 음장 대비
4. 입성(入聲)의 음장(音長)
(1) 입성(入聲)의 특징
(2) 한자의 입성(入聲)과 고유어의 입성(入聲)
(3) 입성(入聲)과 평성(平聲)의 대비
(4) 입성(入聲)과 거성(去聲)의 대비
5. 한자 사성(四聲)의 변이 현황

-부록 1 성조가(聲調歌)
-부록 2 고저일람표
-부록 3 용어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