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대한민국의 외교주권 회복 과정
1. 외교주권의 의미와 상실 과정
2. 일제강점기하 외교주권 회복 노력
3. 외교주권 회복 과정

Ⅱ. 초창기의 외교영토 넓히기, 1948-­1961: 이승만과 장면 정부
1. 초창기의 수교 환경과 성과, 1948-­1961
2. 미군정기의 외교주권 이양 과정
3. 1948년 유엔총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승인 획득 외교
4. 초창기 대한민국 승인 국가
5. 정부 수립 직후 4개국 공관 개설 과정: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6. 1948­1950년 공관 설치 국가와 도시
7. 외교주권 상실 위기: 6·25 전쟁과 나라 구하기 외교, 1950-­1953
8. 6·25 전쟁 후 외교영토 넓히기. 1954­-1960
9. 허정 과도정부와 장면 정부의 외교영토 넓히기, 1960­-1961
10. 외교영토 넓히기의 역군 양성: 1950년대 말 외교관 연수 제도

Ⅲ. 성장기의 외교영토 넓히기, 1961­-1972: 박정희 정부 전반기
1. 성장기의 수교 환경과 성과, 1961-­1972
2. 1961년 군사정변 직후 외교영토 넓히기
3. 군사정부의 수교 사례: 이스라엘과 바티칸
4.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외교영토 개척 개시
5. 한일 수교로 외교영토 확대 시도: 수교 과정과 협상 결과에 대한 평가
6. 한국군의 월남 파병과 한미 안보동맹의 강화
7. 외교영토 상실 위기 해소: 한독관계와 동베를린사건
8. 닉슨 행정부의 등장과 수교 환경의 변화

Ⅳ. 도약기의 외교영토 넓히기, 1973­-1987: 유신과 전두환 정부 시기
1. 도약기의 수교 환경과 성과, 1973­-1987
2. 수교정책의 대전환: 1973년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
3. 중동에서 외교영토 넓히기
4. 비동맹 외교영토 확대의 어려움: 1975년 비동맹회의 가입 실패
5. 한국 외교안보의 근간이 흔들흔들: 카터 대통령의 주한미군 철수 계획
6. 정권 교체기의 외교영토 지키기: 박정희 정부에서 전두환 정부로
7. 전두환 정부 초기의 대미, 대일 외교: 한국 외교의 핵심과 협력 강화
8. 스포츠 외교를 통한 외교영토 넓히기: 서울 올림픽 유치에 성공
9. 한국 외교영토 확대 노력에 북한의 폭탄 테러: 1983년 랑군 사건
10. 소련의 KAL기 격추 사건이 외교영토 넓히기에 주는 교훈
11. 대사급 수교에 23년 소요: 파키스탄과 수교 과정
12. 1980년대 아프리카에서 외교영토 넓히기

Ⅴ. 전환기의 외교영토 넓히기, 1988-­1992: 노태우 정부 시기
1. 전환기의 수교 환경과 성과, 1988-­1992
2. 이라크와 수교 과정: 이란·이라크 전쟁의 부산물
3. 북방외교: 1988년 서울 올림픽 전후 공산국가와 수교 시도
4. 소련과 수교 과정: 한국 외교의 지평 확대
5.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다자 외교의 본격화
6. 중국과 수교 과정: 한국 외교의 뉴 프런티어
7. 베트남과 수교 과정: 과거를 묻고 경제적 상호 보완 관계로

Ⅵ. 성숙기의 외교영토 넓히기, 1993-­2012: 민주화 이후 시기
1. 성숙기의 수교 환경과 성과, 1993­-2012
2. 이집트와 수교 과정: 아프리카·중동의 맹주가 친북외교에서 벗어나다
3. 연방제 국가의 분리 후 독립 국가와 수교 과정: 체코연방과 유고연방
4. 체제전환 동남아국가와 수교: 캄보디아와 동티모르

맺음말


참고문헌
사진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