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문기의 한국인
한국의 과거와 현재
잘못된 한국인의 역사관
불필요한 문화적 열등감

여는 마당: 한국인은 과연 누구인가?
문화의 최고 상징인 책을 사랑한 사람들

첫째 마당: 경이로운 인쇄 문화를 지닌 사람들
첫째 이야기: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 인쇄본, 『직지심체요절』
고려는 금속 활자의 최초 발명국
『직지』란 어떤 책?
금속 활자 발명의 세계사적 의의
그러나 인쇄술의 주도권은 서양이?
그래도 금속 활자의 선진국은 한국

둘째 이야기: 세계 최초의 인쇄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극적이었던 『다라니경』의 발견
『다라니경』은 어떤 경?
『다라니경』이 중국 것이라고?

둘째 마당: 드높은 기록 정신을 가진 사람들
셋째 이야기: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완벽한 대장경, 『고려대장경』
대장경 발간의 의미
대장경은 최고 문명의 상징
『고려대장경』은 어떤 문화물?
『고려대장경』은 어떤 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일까?
고려 과학의 승리, 장경각

넷째 이야기: 세계 최대의 단일 왕조 역사서, 『조선왕조실록』
외물보다는 항상 내심에 더 역점을 둔 조선
『조선왕조실록』이란?
『실록』은 무엇이 뛰어나기에 세계 유산이 되었을까?
첫째: 모든 기록 남기기
둘째: 객관성과 공정성
조선을 넘어서 동아시아로, 그리고 세계로
『실록』이야기를 마치며

다섯째 이야기: 세계 최대의 역사 기록물, 『승정원일기』
승정원은 어떤 곳인가?
『승정원일기』란?
『일기』는 『실록』과 어떻게 다를까?
날씨와 천문도 세세하게 기록한 『일기』
역사학 연구의 지각 변동을 일으킬 『일기』의 번역
조선의 기록 문화 단상

셋째 마당: 가장 탁월한 문자를 가진 사람들
여섯째 이야기: 미스터리 문자, 한글
한글에 무식한 한국인
미스터리 문자, 한글
한글과 『훈민정음』
세종은 왜 한글을 창제했을까 - 왕실 비밀 프로젝트?

일곱째 이야기: 한글을 배우기 쉬운 데는 어떤 원리가 있다
한글 자음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한글 모음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한글이 배우기 쉬운 이유

여덟째 이야기: 한글의 무한한 가능성
한글은 도대체 어떤 점이 우수하다는 것일까
한글은 로마 알파벳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문자
정보화시대에 빛을 발하는 한글

아홉째 이야기: 한글의 발달사 및 수난사
다시 보는 조선조와 세종 대의 드높은 문기
한글은 수난을 더 많이 받은 문자

닫는 마당: 이렇게 쓰고도 다 하지 못한 이야기들

글을 마치며: 신기와 문기가 마주 추는 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