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1장 국어 음운
최남희(동의대) 고구려어의 닿소리 체계 연구
최중호(동의대) 고려한자음에 나타나는 전탁음의 대응 양상
이근영(대진대) 땅이름 <마홀>에 관한 연구

제2장 국어 문법
송창선(대구한의대) ‘-답-’을 통사적 접사로 보는 관점에 대한 비판
박동근(건국대) 한국어의 접사 체계에 대한 반성
허원욱(건국대) 17세기 국어 자리토씨
허재영(서울대) 국어 대명사 발달의 원리
권재일(서울대) 남북 문법의 시간범주 체계의 표준화 방안
윤혜영(건국대) 통어적 분석을 통한 김소월 시 연구

제3장 국어 의미
이석규(경원대) 봉산 탈춤의 언어 사용 연구
이수련(동의대) 소유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
정동환(협성대) 소설 ‘병신과 머저리’에 나타난 의미 분석
방운규(평택대) 여성 감탄사 ‘어머나’에 대하여
김준희(건국대) ‘죽음’에 관한 한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제4장 국어 교육·정책
김용경·이만식(경동대) 재외 한국교포를 위한 한글캠프 교육과정 연구
최용기(국어연구원) 표준어와 표준어 정책
서은아(안양대) 통신 언어의 부침(浮沈)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