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어휘의미론과 인지언어학 11
ㆍ임지룡
필수성과 수의성의 본질 43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ㆍ이정택
‘정’과 ‘한’의 은유적 개념화 67
ㆍ나익주
의미 확장에 있어서 도식의 역할 99
ㆍ이건환
은유적 합성명사의 결합관계와 인지언어학적 해석 123
ㆍ김진해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확장에서의 환유와 은유 151
ㆍ박재연
담화 은유 187
-‘전봇대’의 은유적 사용을 중심으로-
ㆍ이동혁
국어 연결어미의 의미 구조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탐색 209
ㆍ정수진
텍스트 결속 기제로 작용하는 국어 명사의 특징에 대한 연구 231
ㆍ신명선
소설 텍스트의 장 분할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257
ㆍ장경현
말뭉치에 기반한 공간 명사의 의미 변화 연구 283
ㆍ김한샘
TV 광고 언어의 통합적 해석 311
ㆍ채 완
웃음의 의미론적 분석 341
ㆍ윤석민
15세기 수량사구에 대한 통사-의미론적 고찰 363
ㆍ강보유
전남 신안 지역어의 어휘적 특징 381
ㆍ이기갑
중국 조선어의 한어기원 한자어 의미 연구 405
ㆍ남명옥
의미 교육과 국어교과서 427
-2011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ㆍ최경봉
대학 글쓰기 수업개발 방안 459
-전문대학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 유형을 중심으로-
ㆍ정주리
한국어 교육용 온톨로지 구축과 어휘교육 489
-고급 단계 [인지적 행위] 동사를 중심으로-
ㆍ이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