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어의 어제

한국어 음운체계의 변천 원인 조오현 11
문법변화의 과정과 유형 김용경 35
15ㆍ16세기 국어 매김마디의 통어 구조 허원욱 49
15ㆍ16세기 합성어의 성조변동 최영미 83
개화기 신문 광고 언어 서은아 115
신소설과 현대소설의 청자높임법 비교 김정호 131
1920년대 일제강점기 어문생활과 국어의 규범화 허재영 153
치유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사 김준희 181

제2부 한국어의 오늘

21세기 새말의 경음 실현 양상 한명숙 201
21세기 수필류에 나타난 인용구조 윤혜영 239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이음씨끝 양상 장숙영 277
복합문 구성에서의 중첩구성 김유권 305
새말의 어휘론적 위상 정립 박동근 321
현대국어 배설동사의 의미 특성 방운규 341
고유어와의 의미 관계에 따른 외래어의 분류 원흥연 363
텍스트 언어학을 통한 교과서 시의 원전 확정 이만식 401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의 구조 양상 윤재연 427

제3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한국어 말하기 평가 등급의 능력 기술 방안 김주연 465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고경민 485
한ㆍ중 합성어의 구조 비교 오충신 509
한ㆍ중 의태어의 범주와 형태 비교 장언청 541
한국어 동물 속담의 상징의미 벌로마 565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