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태어남과 배움의 시절 = 15
1) 태어남과 그 때의 사회적 배경 = 15
2) 서당 교육 - 구식 교육 방법의 비판 = 16
3) 새 교육 받기 시작함 = 17
4) 주 시경 선생과의 만남 = 18
(1) 사회적 배경 = 18
(2) 조선어강습원과 외솔 = 21
5) 유학의 길 = 25
2. 유학의 결실 = 27
1) 페스탈로찌의 교육학설 = 28
2) (조선 민족 갱생의 도) = 29
(1) (조선 민족 갱생의 도)를 쓰게 된 배경과 동기 = 29
(2) (조선 민족 갱생의 도)의 줄거리 = 31
(3) (조선 민족 갱생의 도)의 실천적 이상 = 31
(4) (조선 민족 갱생의 도)의 근본 사상과 정신 = 32
(5) 민족에 대한 병리학적 진단 = 33
(6) 민족적 쇠약증의 원인 = 38
(7) 민족 갱생의 원리 = 49
(8) 민족 갱생의 노력 = 57
(9) 갱생 노력의 방식 = 60
(10) 맺음말 = 61
3. 광복 이전의 활동 - 조선어학회 활동 = 64
1) ''한글모''의 특별 회원, 동래 사립 동명 학교의 조선어 강습원 강사 = 64
2) 조선어연구회와 외솔 = 65
(1) ''한글'' 동인지 창간 동인, ''한글날'' 제정 = 65
(2) 사전편찬 발기인, 사전편찬 위원회 준비위원, 사전편찬 집행위원 = 68
3) 조선어학회와 외솔 = 69
(1) 맞춤법 사정위원 = 69
(2) 표준말 사정위원, 표준말 제정위원 = 73
(3) 외래어 표기법 사정 활동 - 통일안을 위한 자가안 제출 = 76
(4) 사전 편찬 활동 = 83
(5) 외솔의 수난 = 84
4. 광복 이후의 활동 = 107
1) 문교부 시절 = 107
(1) 자유민 교육의 교과서 편찬 = 108
(2) (큰사전) 편찬의 행정적 지원 = 109
2) 한글학회 시절 = 110
(1) (큰사전) 6권 펴냄 = 111
① (큰사전)의 록펠러 재단 지원과 외솔의 활동 = 111
② ''한글파동''과 외솔 = 113
③ (큰사전) 편찬 완성과 외솔 = 116
(2) 한글의 기계화 = 121
(3) 학교 말본(문법) 파동과 외솔 = 124
(4) 우리 땅이름 조사 = 127
(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설립과 외솔 = 129
(6) 학술원의 활동 = 130
(7) 외솔의 민족적 이상을 바탕으로 한 국제화(세계화) 감각 = 130
5. 연희 - 연세 교수 시절 = 132
1)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부임 - 국학자들의 만남 = 132
2) 연희 - 연세대학교 교수 시절 = 134
(1) 올곧은 석학, 다정한 스승 = 134
(2) 외솔의 한글과 연세춘추 = 138
(3) 외솔과 학교 행정 = 141
(4) 외솔과 국학 = 143
6. 외솔의 연구 업적 = 152
1) 국어학-광복 이전 = 152
(1) (우리말본) = 152
(2) (한글갈) = 250
2) 말글론/나라사랑론/교육론-광복 이후 = 273
(1) 글자 정책론-한글만 쓰기의 주장 = 276
(2) 글자의 혁명론 - 가로 풀이쓰기 주장 = 314
(3) 말다듬기론 - 우리말 순화의 주장 = 336
(4) 나라사랑론 = 357
(5) 교육론 = 408
(6) (외솔 최 현배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과 우리말글 사랑 = 440
7. 마무리 = 445
붙임 = 461
1. 외솔 최 현배 선생의 지은 책들 = 463
2. 외솔 최 현배 선생의 지도 및 공동 편찬 = 465
3. 외솔 최 현배 선생의 글모이 = 466
4. 외솔 최 현배 선생의 해적이 =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