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을 대신하여 / _5
일러두기 / _6

제1부 중세·근대 국어 문법 요약
1. 중세국어 문법 _13
1) 표기 _13
(1) 표기법의 두 원리
① 표음적 표기법(=음소적 표기법)
② 표의적 표기법(=형태음소적 표기법)
③ 표음적 표기법과 표의적 표기법의 비교
(2) 중세국어 표기법의 특징: 표음적 표기법 _14
① 8종성 표기
② 음절의 표기
③ 사이시옷 표기법
2) 음운 _17
(1) 자음
① 초성
② 종성
(2) 모음
[각론] _18
(1) 자음
(2) 모음 _21
(3) 성조
3) 형태 _22
(1) 환경에 따라 교체하는 체언이 있었다.
① ㄱ-보유어
② ㅎ-종성체언
③ 의존명사 ‘ᄉᆞ, ᄃᆞ’의 교체 _23
④ 대명사의 교체
(2) 모음조화에 의한 조사와 어미의 교체 _24
(3) 조사의 교체
① 주격조사와 부사격조사에는 음운론적 이형태가 있었다.
② 관형격조사에는 음운론적 이형태와 의미 자질에 따른 이형태가 있었다.
(4) 존칭의 호격 조사 _25
(5) 부사격조사의 특이성
(6) 어미의 교체
(7) 일부 어미는 선어말어미 ‘-오-/-우-’와 통합되어 한 형태소를 이루기도 하였다. _26
(8) 도사의 어휘적 성격에 따른 어미 교체
어미의 형태에 의해 타동사와 비타동사를 구분할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9) 분리적 성격의 형태소 _29
한 형태소 내부에는 다른 형태소가 끼어들지 못함이 원칙이나 일부 형태소의 경우 한 형 태소가 다른 형태소 사이에 끼어드는 일이 있었다.
(10) 선어말어미끼리의 화합 _27
선어말어미끼리 서로 결합되어 제3의 형태로 바뀌는 일이 있었다.
(11) 비통적 합성어의 생산성
(12) 영파생 _28
(13) 형태에 따른 품사의 구분\
① 명사파생 접미사와 명사형 전성어미의 형태가 달랐다.
② 형용사에서 명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는 ‘-ᄋᆞㅣ/-의’이고 부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는 ‘-이’ 이었다.
(14) 기타
4) 통사 _29
(1) 서술부가 길어지면 피정의항[주제어]이 서술부에 다시 반복되기도 했다.
(2) 관형절과 명사절의 의미상 주어가 주격이 아닌 관형격 표지 ‘ᄋᆞㅣ/의’를 취한다.
(3) 자동사 구문의 동사 활용형에 타동사표지 ‘어’가 나타나기도 한다.
(4) 주어 명사구가 높임의 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선어말어미 ‘-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_30
(5) 시제형태소가 없었기 때문에 서법형태소에 기대어 시간이 표현되었고, 부정법에 의해 과거시제가 표현되기도 하였다.
(6) 객체높임법
(7) 상대높임법 _32
가. ᄒᆞ쇼셔체: 화자가 청자를 아주 높이는 방법
나. ᄒᆞ야쎠체: 화자가 청자를 보통으로 낮추거나 보통으로 높이는 방법
다. ᄒᆞ라체: 청자를 아주 낮추는 방법
(8) 활용형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나타나기도 한다.
(9) 의문문의 다양성: 중세국어 의문문은 의문문의 종류에 따라 어미가 달랐으며, 인칭에 따 른 어미의 구분이 있었고, 체언 의문문도 있다. _33
(10) 관형사형 전성어미의 명사적 용법 _34
(11) 세 자리 서술어는 이중목적어를 취하기도 하였다.
(12) 비교 구문에서 주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비교의 부사격조사가 있었다.

2. 근대국어 문법 _35
1) 표기
(1) 임진왜란(1592~1598) 이전과 이후 문헌 사이의 문자 체계상의 차이
① 성조가 없어짐에 따라 방점이 표기되지 않았다.
② ‘ㅇ’자가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③ ‘△’자가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2) 표기법의 혼란 _36
① 어두합용병서의 혼란
② 종성의 ‘ㅅ’과 ‘ㄷ’의 혼란
③ 모음 간에서 ‘ㄹㄹ’과 ‘ㄹㄴ’이 혼용되었는데, ‘ㄹㄴ’ 표기는 중세국어에서는 볼 수 없 었다. _37
④ 목적격조사 ‘ᄅᆞᆯ/를’과 ‘ᄂᆞᆯ/늘’의 혼용
⑤ 중철표기
가. 받침이 다음 음절 초성으로 거듭 적혔다.
나. 모음간의 된소리 또는 유기음을 표기하는 데에 있어서 분석적 표기 경향이 나타났다.
⑥ 형태소 구분 표기: 체언과 조사를 분리하여 표기하려는 의식이 뚜렷이 나타났다.
2) 음운 _38
(1)음절 구조
① 초성 자리에 올 수 있는 자음 수의 변화
② 7종성의 확립
③ 어간말 자음군
(2) ‘ㅎ’의 된소리 _39
(3) 유성후두마찰음 ‘ㅇ’의 소멸
(4) 구개음화
① 구개음화는 ‘i/y’ 앞에서 ‘ㄷ,ㅌ’이 ‘ㅈ,ㅊ’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② 구개음화는 경구개파찰음 ‘ㅈ,ㅊ’ 등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③ 현대국어의 구개음화는 형태소 경계에서만 적용된다. _41
④ 어두에서 ‘i/y’에 선행한 ‘ㄴ’의 탈락은 ㄴ-구개음화와 관련된 현상이다.(18세기 후반) ⑤ 방언에서는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도 나타난다.
(5) 평음의 경음화 및 유기음화의 확장
① 경음화
② 유기음화 _42
(6) 양순음 ‘ㅍ’ 앞에서 ‘ㄹ’의 탈락(소수의 예가 있다)
(7) 원순모음화
(8) ‘ㆍ’의 비음운화
① 제1단계 비음운화
② 제2단계 비음운화
(9) 모음체계의 변화 _43
(10) 움라우트 _44
① 움라우트는 후설모음이 [-설정성] 자음을 사이에 두고 ‘i/y’ 앞에서 전설모음으로 바뀌 는 현상이다.
② 국어사에서 움라우트는 이중모음이었던 ‘애/에’가 전설단모음 .애/에‘로 바뀐 뒤에야 가능하였는데, 그 시기는 대체로 18세기와 19세기 교체기인 것으로 추정된다.
③ 국어사에서 움라우트 현상은 전설단모음 형성의 증거가 되기도 한다.
(11) 전설모음화
(12) ㅟ > ㅢ _45
(13) ㅢ >ㅣ
(14) 탈락과 축약
(15) 이화
(16) 첨가
(17) 성조의 소멸
① 고대 국어
② 중세 국어 _46
③ 16세기 중엽 이후 흔들리다가 16세기 말엽 문헌에서 방점이 사라진다.
④ 중세국어의 상성은 잉여적으로 장음을 지녔는데, 성조가 사라진 뒤에도 이 장음은 현 대 국어로 이어져 현대국어의 비분절음운이 되었다.
⑤ 경상도 방언과 함경도 방언에는 성조의 잔재가 남아 있다.
3) 형태
(1) 단어 형성
(2) 체언과 조사 _47
(3) 용언과 어미 _51
① 활용형의 단일화
② 어간의 단일화
③ ‘ㄱ → ㅇ’ 규칙의 소멸
④ 모음조화의 쇠퇴
⑤ 감동법 선어말어미의 단순화
⑥ 어미의 변화와 소멸
(4) 통사 _52
① 명사절의 변화
② 관형사절의 확대
③ 관형사형 어미의 기능 단순화
④ 사동법
⑤ 피동법 _53
⑥ 높임법
⑦ 시간 표현 _55
⑧ 문장 종결법
⑨ 인칭활용과 대상활용 _58
4) 어휘 _58
(1) 많은 고유어가 소멸하거나 한자어로 대체되었다.
(2) 의미 변화 _59
① 의미의 확대
② 의미의 축소
③ 의미의 이동

제2부 중세국어 문헌 강해 _61
1. 訓民正音 [훈민정음 해례] _63
訓民正音 解例 _69
初聲解 _80
中聲解 _81
終聲解 _82
合字解 _84
用字例 _88
[참고 1] 우리말로 옮긴 훈민정음 / _91
제자해 _93
초성해 _102
중성해 _103
종성해 _104
合子解 _106
用字例 _109
[참고 2] 鄭麟趾 序 / _111
[참고 3] 諺文創制反對上疏文 崔萬理 等 / _114
2. 世宗御製訓民正音 _123
[참고 4] 訓蒙字會 / _137
3. 釋譜詳節(第六) _143
4. 月印釋譜 _181
(1) 月印釋譜(第一) / _184
釋譜詳節 序(석보상절 서) _184
御製月印釋譜 序(어제 월인석보 서) _189
月印釋譜(第一) / _206
월인천강지곡 제일
(2) 月印釋譜(第十三) / _224
5. 杜詩諺解 _237
九成宮 (구성궁) _241
早朝大闕宮呈兩省察友 賈至(조조대궐궁정양성찰우 가지) _244
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 (화고지사인조조대명궁 ) _245
同前 王維(왕유) _246
同前 岑參(잠참) _247
宣政殿退朝晩出左掖(선정전퇴조만출좌액) _248
紫宸殿退朝口號(자신전퇴조구호) _250
6. 飜譯老乞大 _251
飜譯老乞大(上) _253
7. 小學諺解 _265
[참고] 번역소학과 소학언해의 비교 _282
8. 순천 김씨 묘 출토 간찰 _285

제3부 근대국어 문헌 강해
1. 연병지남(練兵指南) _305
2. 東國新續三綱行實圖 _317
동국신속삼강행실도 _319
3. 朴通事諺解 _331
번역박통사 _332
박통사언해 _333
4. 나주 임씨가 간찰 _351
나주 임씨가 『총암공 수묵 내간』 언간 _352
나주 임씨가 『임창계 선생 묵보국자내간』 언간
나주 임씨가 『총암공 수묵 내간』 언간 _353
나주 임씨가 『임창계 선생 묵보국자내간』 언간 _355
5. 伍倫全備諺解 _361
6. 靑丘永言 _371
靑丘永言 (珍本) _373
7. 동명일긔 _391
의유당관북유람일기 _390
동명일긔 _391
8. 敬信錄諺釋 _413
태샹감응편 _415
9. 독닙신문(獨立新聞) _427
논셜 _430
참고문헌 / _434
<사전 및 자료집>
<논저>
찾아보기 / _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