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제1장 <조선일보> 광고의 발전과 연구 17

제2장 동서양의 광고관 19
광고관: 미국 20
광고관: 동양 23
광고관의 변화: 한국 27

제1부 <조선일보> 창간, 눈부신 발전 그리고 강제 폐간(1920~1940)

제1장 개관 33
정치ㆍ경제ㆍ매체 상황 33
광고의 발전 35

제2장 <조선일보> 창간 및 광고 관련 상황 37
<조선일보>의 창간 38
신문의 광고량 40
미국과 일본의 광고산업 45
신문 광고 환경: 단가 및 거래 관례 46
1930년대 한국 광고비 49
신문 발행부수 추세 51
광고 비평과 규제 53
1940년 8월 10일 강제 폐간 57

제3장 <조선일보>가 주최한 광고 행사 61
1929년 10월 26일 미인 선발 66
1937년 5월 16일 조선 최초의 광고 강좌 67

제1강좌
경제상(經濟上)ㆍ문화상(文化上) 광고의 사명! 76
경제상ㆍ문화상 광고의 사명!(계속) 82
광고의 이익은 이러한 것이다 89
경제상ㆍ문화상 광고의 사명!(계속) 92
경제상ㆍ문화상 광고의 사명!(계속) 94

제2강좌
금일의 광고 실천-계획, 방법, 무기는 무엇 99
금일의 광고 실천-준비 조사가 절대 필요 102
금일의 광고 실전-상세한 조사할수록 호적(好績: 좋은 성적) 105
금일의 광고 실전-누구에게 팔까? 110
금일의 광고 실전-어디에다 광고할까 114
금일의 광고 실전-소매점도 광고가 필요 118
금일의 광고전-소매점도 광고가 필요 120

제3강좌
소매점 광고 입안-독창적 광고술이 필요 125
소매점 광고 입안-광고의 망(網)을 작성할 것 129
소매점 광고 입안-광고 매체를 선택할 것 132
소매점 광고 입안-서-비스는 영구적 상략(商略) 134
소매점 광고 입안-상략은 매상 증진 수단 138
소매점 광고 입안-구성과 배합이 제일 조건 140

제4강좌
신문 광고에 대하여-광고의 사회적 존재 144
신문 광고에 대하여-광고 매체로 제일 효과적 147
신문 광고에 대하여-광고의 다과는 문화의 척도 150

제4장 광고 관련 보도 155
선전과 실행(宣傳과 實行) 157

<개벽> 광고 압수/정간에 관한 사설 162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廣告에 對한 一般常識解說) 165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① 171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② 173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③ 176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④ 178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⑤ 180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⑥ 183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⑦ 187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⑧ 189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⑨ 191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⑩ 195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⑪ 197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⑫ 199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⑬ 201
- 광고에 대한 일반상식 해설 ⑭ 204

신문 광고 만설(新聞廣告漫說) 206

신문 광고에 대한 소고(新聞廣告에 대한 小考) ① 210
신문 광고에 대한 소고 ② 214
신문 광고에 대한 소고 ③ 217

상업 경영 비책(商業 經營 秘策)-그5-광고 효과 편(廣告效果篇) ⑧ 219

상품 광고와 심리학의 관계(商品 廣告와 心理學의 關係) 223
- 상품 광고와 심리학의 관계 ① 225
- 상품 광고와 심리학의 관계 ② 229
- 상품 광고와 심리학의 관계 ③ 233
- 상품 광고와 심리학의 관계 ④ 237

상품 광고전에 연구할 필수 항목 ① 239
상품 광고전에 연구할 필수 항목 ② 243

제5장 다양한 광고 관련 기사 247

제6장 광고 표현 271
제하 광고 272
기사 중 광고 273
변형 광고 274
기사식 광고 276
증언 광고 279
정치 광고 280
협찬ㆍ티저ㆍ유머 광고 283
표현 방법의 다양화:
라인 드로잉, 로고 타입, 사진 이용, 모델 등장, 섹시한 광고 286
기타 291

제7장 그 밖의 일들 293
기업 광고/기업의 사회적 책임 제기 293
기업의 사회적 책임 캠페인 294
헌납 광고 297
제약회사 사보, 극장 판촉지 297
‘광고’ 용어 빈도 조사 300

제8장 결론 303


제2부 광복-정치ㆍ사회적 혼란, 6ㆍ25 한국전쟁, 복구(1945. 8. 15~1960년대)

제1장 개관 311
광고의 부활 311

제2장 매체 317

제3장 광고 319

제4장 조일광고상 323

제5장 광고 표현의 변화 331

제6장 그 밖의 일들 337
신문 부수 공개 문제와 최용진 337
신문 판매전 340
광고도 일종의 기사 350
<조선일보> 광고부장 홍우백의 “광고” 351
신문의 날 광고 특집 353
광고 복덕방(福德房): 광고대행사 355

제7장 결론 359

제3부 맺는말 365


참고문헌 369
찾아보기 371
부록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