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서명의 역사
제1장 진한대(秦漢代) 목간(木簡)의 서명(署名)
제2장 지목병용(紙木倂用) 시기의 서(署) · 성명(姓名) · 압(押)
제3장 율령제 공문서의 서명 -불칭성(不稱姓)과 약명(略名)의 예식(禮式)-
제4장 송대 고문서의 서명 -정존비(正尊卑) 명분수(明分守)의 예식(禮式)-

제2부 고문서학에 있어서 서명과 인장 연구의 가능성
제1장 「복천보장(福泉寶藏)」의 서명과 문서위조
제2장 「우암선생 영주결서(尤菴先生瀛州訣書)」의 진위와 만동묘 건립
제3장 공문서의 관인(官印)과 예식(禮式)
제4장 조선 중기 전서(篆書)와 인문(印文)

제3부 서명과 인장의 주변
제1장 조선시대 어압(御押)
제2장 조선시대 행정 문서의 어보(御寶), 관인(官印), 서명(署名)
제3장 수촌(手寸), 수장(手掌), 부인도서(婦人圖書), 각압(刻押)
제4장 서명 이야기

제4부 착명과 착압
제1장 문자 조형과 조선시대 서명
제2장 착명 · 착압의 양식
제3장 착명 집례
제4장 착압 집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