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말 : 조선 전기 문화와 집현전 학사
1. 15세기를 보는 ''눈'', 집현전 학사
2. 집현전 설치 과정과 집현전 학사의 범주
〈연도별 집현전 근무자 명단〉

제1장 집현전 학사의 삶과 계층적 성격
1. 가문 및 관력
1) 박팽년·성삼문 - 집현전 전임 학사
2) 양성지·이석형 - 집현전 전임 학사에서 중진 관료로
3) 최항·신숙주 - 집현진 전임 학사에서 고위 훈구 관료로

제2장 집현전 학사로서의 활동과 의식 지향
1. 학술사업과 경세적 학문관의 형성
1) 세종의 학문관과 편찬 사업
2) 전문성·실용성 중심의 학문 경향
2. 토론 및 상서 활동과 성격 변모의 과정
1) 백성중심주의에 기초한 제도 담론
2) 불교 비판 언론 활동과 언관화

제3장 집현전 학사 문학의 내용과 특성
1. 관인으로서의 현실 인식과 문장화국
1) 세계와 문학의 위상에 대한 인식
2) 수성 정치의 근본과 기술
3) 정치적 이상경의 현재화와 향유
4) 중국 사신과의 시문 수창
2. 예술 감상자로서의 미의식과 의식 지향
1) 15세기 문화 지형도와 회화 향유의 확산
2) 산수의 추체험과 제화시 창작
3) 제화시의 이론화와 경향과 서화론
〈신숙주「화기」소재 화가 및 작품 품평〉

제4장 세조대 이후의 활동과 문학의 성격
1. 집현전 학풍의 계승과 문화 활동
1) 집현전 기능과 이념의 계승 - 서적 편찬 및 학술 활동
2) 문사와 문학의 위상 강조 - 겸예문 제도의 시행
2. 관인문학적 성격의 지속과 변모
1) 군주에 대한 경계 - ''경과 신''
2) 중국 사신과의 시문 수창 - 한강의 승경 인식
3) 태평시대의 향유 - 호방하고 유락적인 흥취의 강화

맺는말 : 집현전 학사 문학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
참고문헌
부록〈집현전 학사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