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고려전기의 불교조각
****** 통일왕조의 출현과 새로운 불교미술의 전개

제1장.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과 후삼국 통일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개태사 창건 /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의 분석 /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과 경북.충북 일대의 석불들 / 조각장인에 대한 추론 /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에 보이는 외래적 요소 / 개태사 본존상의 도상 문제

제2장. 광주철불좌상과 통일신라 도상의 계승
광주철불의 조성배경 / 광주철불의 양식계보 / 광주철불의 조각사적 의의

제3장. 중부지역에 확산된 불교조각: 석불과 철불 83
북한산 일대의 석불 / 광주.하남시 일대의 석불 / 안성 일대의 석불 / 평택.시흥의 서해안 일대 석불 / 원주 지역의 석불과 철불 / 충주.괴산 지역의 석불 / 중부지역 불상들의 양식적 특징과 의의

제4장. 미륵존상 조성의 성행: 마애보살반가상과 석조보살입상
보살반가상 형식 / 보살입상 형식 / 보살상의 편년 / 석조보살상의 존명 / 조성배경

제5장. 지방 호족의 불교조각: 강릉.오대산 지역의 석조보살상 147
강릉.오대산 지역의 성격 / 한송사지 석조보살상 / 월정사 석조보살상 / 신복사지 석조보살상 / 조각적 특징과 의의

제6장. 현종대의 석탑 조각과 그 의장
현종대의 불교와 불사 /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의 부조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의 부조 / 개성 현화사지 칠층석탑의 부조 /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의 인물상 / 영암사지의 석조의장 / 현종대 석조미술의 성격과 의미

제7장. 새로운 도상의 전래와 수용 226
승가대사신앙과 승가사 승가대사상 / 나한신앙의 성행과 그 미술 / 성불사 마애석가삼존과 십육나한상 / 국립전주박물관 동제 빈도로존자상 / 소조 및 도제 나한상 / 관음보살상의 새로운 형식

Ⅱ. 고려후기의 불교조각
****** 정토를 향한 염원과 현세극복

제8장. 목조아미타불상의 조성과 복장 묵서명
개심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봉함목 묵서명 / 개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조성원문 및 개금발원문 /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복장 전적 / 수국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기해명 다라니 및 개금발원문 / 자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개금발원문 / 아미타불상의 양식 / 아미타불상 조성 배경과 의의

제9장. 귀족적 미의식의 정착: 12세기 말~13세기의 보살상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소형 금동보살입상

제10장. 왕실불사와 민천사 금동아미타불좌상
민천사의 창건 배경과 그 기능 / 민천사의 삼천불 조성 불사 / 민천사 금동아미타불좌상과 개경 주변의 불상들 / 민천사 금동아미타불좌상과 14세기 중엽의 금동불상들

제11장. 중생구원의 이미지: 14세기의 금동보살상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 / 지순명 금동관음보살입상.대세지보살입상 /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 조각사적 의의와 성격

제12장. 현세구복 신앙의 편린: 호지불과 마리지천상
고려시대 밀교와 마리지천신앙 / 고려시대의 호지불과 마리지천상 / 마리지천상의 유래 / 고려 말의 마리지천상 / 마리지천상의 성격과 불교미술사적 의의

에필로그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